윤석열 대통령이 16일 ‘과학 수도’ 대전을 찾아 젊은 과학자들의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대학원생 연구생활장학금’ 도입 등 연구자들에 대한 전폭 지원 방침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대전 유성구 ICC호텔에서 ‘대한민국을 혁신하는 과학 수도 대전’을 주제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우리 이공계 학생들이 학비나 생활비 걱정을 덜고 학업과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학기술계의 20년 숙원인 대학원생 연구생활장학금 지원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겠다”며 “국가연구개발에 참여하는 모든 전일제 이공계 대학원생들에게 석사는 매월 최소 80만원, 박사는 매월 최소 110만원을 빠짐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동안 학부생만 대상이던 ‘대통령 과학 장학생’도 대학원생까지 대상을 확대하고 장학금 규모도 1인당 연평균 2500만원 수준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또 “대전은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과학 수도’”라며 “1973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혜안으로 대덕연구단지를 건설한 이후 대덕에서 이루어 낸 수많은 성과가 우리나라 경제와 산업 발전에 토대가 됐다”고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과학 수도에 걸맞게 도시 개방성과 연결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바꿔나갈 것”이라며 대전을 지나는 경부선·호남선 철도를 지하화하고 올해 4월 민자사업적격성 조사 예정인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도 임기 내 사업 착수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대선 공약이었던 제2대덕연구단지 조성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카이스트 학위수여식에 참석해 “과학 강국으로의 퀀텀 점프를 위한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겠다”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과감하게 도전하라”고 당부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에서 윤 대통령 연설 도중 한 졸업생이 “생색내지 말고 R&D 예산을 복원하십시오”라는 취지로 소리를 지르다 대통령경호처 요원들에 의해 강제 퇴장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경호처는 “법과 규정, 경호원칙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해명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