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재발이 아닌, 수술 시 넣은 인공수정체 뒷편 혼탁 현상
[쿠키 건강] 국내에서 시행되는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의 발병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백내장 수술 후 다시 시력이 눈이 흐려지는 ‘후발성 백내장’ 발생률도 오르고 있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010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주요수술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내에서 백내장 수술은 한 해 28만9867명이 수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수술 건수 1위에 올랐다. 특히 최근 백내장 수술을 받는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백내장 수술을 받는 사람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이동호 압구정연세안과 원장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눈의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는 백내장은 대표적인 노년층 안질환”이라며 “하지만 최근 눈을 혹사하는 환경 요인이 늘어남에 따라 백내장으로 병원을 찾는 중년 환자들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후발성 백내장’, 백내장 수술 후 10~20%에서 발생
백내장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중 가장 확실하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치료법이 수술이다. 초기 백내장의 경우 안약 혹은 내복약의 형태로 된 약물 요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국소마취 후 각막을 절개한 후 뿌옇게 된 수정체를 잘게 부숴 흡입장치로 제거하고, 연성 인공수정체를 눈 안에 삽입하는 수술법이 적용된다.
하지만 백내장 수술 후 다시 인공수정체 뒷편이 혼탁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후발성 백내장이라고 부른다.
보통 백내장 수술시 수정체를 둘러싸고있는 주머니의 앞 쪽 부분을 제거하지만, 뒤 쪽 부분의 주머니는 남겨놓게 되는 데 뒷 쪽 부분의 주머니에 있는 상피세포들이 자라고 이동하면서 혼탁한 막을 형성해 눈이 뿌옇게 보이는 증상을 말한다.
문제는 이런 후발성 백내장 증상이 백내장 수술 후 10~20%가 발병하며, 특히 백내장이 재발한 것으로 오인하기가 쉽다는 점이다.
이 원장은 “후발성 백내장의 경우 시술 환자의 나이와 관련이 깊은데 선천적인 이유로 발병한 소아 백내장수술 후 훨씬 잘 나타나며, 성인 역시 백내장수술 후 3~5년이 경과하면 약 2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후발성 백내장, 간단한 시술로 치료 가능해
이동호 압구정연세안과 원장은 “드물게는 후발성 백내장 증상을 백내장이 재발한 것으로 오인, 치료를 포기하는 환자들도 있다”면서 “정확하게는 백내장과 후발성 백내장은 별개의 질환이며, 후발성백내장의 경우 간단한 수술로 치료가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일반적인 후발성 백내장 치료방법은 혼탁한 막의 중앙부위에 구멍을 내 인위적으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쓰인다. 과거에는 공막의 절개 후 수술적인 요법으로 혼탁된 막의 절제를 진행했으나, 최근에는 레이저(YAG Laser) 시술을 이용해 짧은 시간 안에 통증과 출혈 없이 혼탁된 막을 절개한다.
이동호 원장은 “혼탁된 막을 제거하는 시술을 마치면 다시 원래 시력으로 회복되며 재발하지 않는다”며 “시술 후 1주일 정도 염증 방지 차원에서 스테로이드제 안약을 점안해야 하고, 시술 시 합병증의 하나인 안압상승 방지를 위해 항녹내장약을 투여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백내장 수술후 눈이 다시 흐려지는 ‘후발성 백내장’은?
입력 2012-02-24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