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암세포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차단해 항암효과를 높이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외과 정재호 교수(사진)는 미국 MD앤더슨 암센터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당뇨약인 ‘메트포르민’과 당대사 억제물질인 ‘2-디옥시글루코스’를 같이 투입한 동물모델 실험에서 암세포가 약 50% 정도 줄어들어 항암효과를 입증했다고 23일 밝혔다.
암세포는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로 포도당을 외부에서 의존적으로 많이 흡수하는데, ‘2-디옥시글루코스’는 포도당처럼 암세포 속으로 쉽게 들어가지만 에너지로 만드는 대사 작용에는 포함이 안 되는 대사적 불활성 물질이다. ‘메트포르민’은 암세포 내 에너지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생성하지 못하도록 억제해 성장을 차단한다.
동물모델 실험 결과 21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대조군은 종양의 크기가 3500㎣인데 반해 2-디옥시글루코스와 메트포르민 병용 투여한 군은 1700㎣로 대조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48%로 줄어들었다.
또한 적출된 종양 무게 합도 대조군이 20g 인데 반해 2-디옥시글루코스와 메트포르민 병용 투여한 군은 9g으로 대조군에 비해 55% 이상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이는 동물모델 MRI 영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동물모델에서 투약 21 일째 촬영한 영상을 비교하면 2-디옥시글루코스와 메트포르민 병용 투여 군의 종양크기는 3000㎣로 대조군의 1400㎣에 비해 56 % 작았다.
동물모델에서 적출된 종양의 외적 크기를 비교해도 대조군에 비해 2-디옥시글루코스와 메트포르민 병용 투여 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작음을 알 수 있다. 이 동물은 약물 투여 23 일째에 촬영됐다.
정재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이제까지의 항암전략과는 완전히 차별화되는 신규 표적으로서 암세포의 에너지 대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메트포르민의 항암효과의 기전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공함으로서 향후 종양에너지 대사를 타깃으로 하는 표적치료 연구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성지 기자 ohappy@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