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정준 바로병원 원장
[쿠키 건강칼럼] 컴퓨터 앞에 앉아서 장시간 업무를 보는 직장인들은 어깨와 목 통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모니터를 눈높이보다 한참 낮게 두고 보거나 의자에 앉을 때 등을 구부린 채 목을 앞으로 쭉 내밀고 일하는 습관 때문이다.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한 ‘거북목 증후군’= 이렇게 잘못된 자세로 컴퓨터 모니터를 오랜 시간 응시하면 목이 아래로 꺾이면서 뒷목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 통증이 발생한다. 또한 양 어깨의 뻐근함도 수반되며 어깨를 두드려도 쉽게 나아지지 않는다.
이런 자세가 습관화되면 C자로 만곡을 유지해야 할 목뼈가 일자로 변형되는 ‘거북목 증후군’이 생기기 쉽다. 거북목 증후군은 목과 어깨의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할 뿐 아니라 목디스크의 원인이 되기도 해 자세가 나쁜 직장인들의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한다.
◇목디스크로 진행된 경우 전문적인 검사와 치료 필요= 거북목 자세로 인해 목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통증은 바른 자세를 취하고 휴식을 취하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호전될 수 있다. 그러나 통증 발생횟수가 잦고, 목 통증뿐 아니라 어깨, 팔의 통증이 함께 나타날 경우에는 목디스크로 진행됐을 가능성이 크다.
목디스크는 목 부위 척추뼈인 경추와 경추 사이에 쿠션역할을 하는 디스크의 수핵이 빠져 나와 목 주변을 지나가는 신경을 건드려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목 주변 신경은 어깨나 팔, 손끝으로 가는 신경이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목디스크가 발생하면 목 통증 외에도 어깨, 팔의 통증이 함께 발생해 오십견이나 근막통증후군 등 단순 근육통쯤으로 오인하기 쉽다. 때문에 엉뚱하게 팔이나 어깨 통증 치료만 하고 치료시기를 놓쳐 질환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만약 단순 통증으로 오인해 방치하게 될 경우 척추에 손상을 줘 전신마비까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증상이 의심될 때에는 전문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목디스크 증상에 따라 단계별 치료 가능= 목디스크 치료는 초기일 경우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를 통해 통증을 가라앉히고 증상에 호전이 없는 경우는 신경성형술과 같은 비수술 주사요법이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주목할 수 있는 수술이 ‘4無 신경성형술’. ‘4無 신경성형술’은 문제가 생긴 신경 주위에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물을 주사로 주입해 통증을 없애는 시술이다. 국소마취로 진행되며 절개를 하지 않기 때문에 흉터가 남지 않고 출혈이 거의 없어 입원도 필요하지 않다. 수술이 두렵거나 체력이 약하고 만성질환이 있는 고령층도 부담 없이 시술 받을 수 있다.
또한 안전하고 성공률이 높은 ‘3D Active Trac’ 장비를 통해 수술과 통증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 3D Active Trac을 이용한 도수치료는 정확하고 효과적인 입체적 디스크치료방식으로 추간판(디스크)의 음압을 조정해 골반교정이나 목·허리 디스크 탈출증, 퇴행성디스크, 척추협착증, 척추측만증 환자들에게 매우 효과적이다.
좀 더 근본적인 치료를 원한다면 수술적 요법을 고려해야 한다.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최소침습 현미경 레이저 디스크 수술은 절개부위가 1.5~2㎝정도로 수술흉터가 눈에 띄지 않으며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디스크 파열이 심하거나 노화로 인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에는 최소침습 인공디스크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바로병원의 최소침습 인공디스크 수술은 움직임이 자유로운 인공디스크를 대체해 수술 후에도 목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최소부위 절개와 목 주름 절개로 수술 부위 흉터가 눈에 띄지 않는다.
◇스트레칭과 바른 자세로 목 디스크 예방 가능= 목디스크는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다. 출퇴근 시 대중교통에서도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사용을 줄이고 업무 시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도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춰 ‘거북목’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목이나 어깨에 통증이 발생할 경우 업무 중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도 목디스크를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다.
‘거북목 증후군’ 방치하다 목디스크 부른다
입력 2012-02-22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