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커피전문점 시장의 성장세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핵심 상권은 물론 지방상권까지 매장을 확장하고 있으며, 정형화된 구조에서 벗어나 ‘숍인숍 매장’, ‘특수 매장’등으로 성장을 지속해 가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엔제리너스커피는 오는 4월 광주광역시 광천에 커피전문점 업계 최초로 드라이브 스루(Drive Thru)점을 오픈 할 예정이다. 529㎡규모의 3층 건물로 들어설 광주광천 드라이브 스루점은 통행량이 많은 광천동 터미널 주변에 위치, 사무실과 병원, 은행 등 주요 편의 시설이 밀접한 지역으로 직장인뿐만 아니라 가족 등 다양한 고객층이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자동차를 탄 채로 음식을 주문하고 받아갈 수 있는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의 특징을 반영, 접근이 편한 대로변에 위치하여 이용객의 편의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스타벅스는 지난 해 12월 인천 부평구 한국GM 부평공장 단지 안에 스타벅스 부평GM점을 오픈, 해당 기업의 임직원만을 위한 매장을 운영 중이다. 한국GM 부평공장은 외부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된 곳으로 대부분이 생산을 위한 공장시설로 채워져 있어 커피 한잔의 여유를 느낄 수 있는 휴식공간이 부족한 곳이다. 이에 스타벅스는 유동인구가 밀집되는 핵심 상권 위주의 커피전문점 매장 운영전략의 틀을 깨고 업계 최초로 제조 공장 내에 매장을 입점, 1만명이 넘는 임직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커피빈은 여의도 현대차 전시장에 입점, 숍인숍 형태의 공동마케팅을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유럽의 노천카페를 모티브로 전시장 디자인과 조명 등을 새롭게 디자인한 ‘현대차 에스프레소 1호점’은 커피가 가져다 주는 따뜻한 감성을 통해 기존 자동차 전시장의 딱딱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고객들에게 친숙한 이미지로 다가서도록 도와주는 것은 물론 기존 상권에서 벗어난 특수 공간의 활용으로 소비자들에게 한층 더 가깝게 다가가고 있다.
엔제리너스커피 관계자는 “매장의 경우 브랜드의 상징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차별화된 매장 전략을 통해 자사의 이미지 제고뿐 만 아니라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는 데 훌륭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커피전문점들의 반란?…지방상권까지 매장 확장
입력 2012-02-14 0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