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01~11년간 수입식품 현황을 분석한 결과…일본산 수입 10.3% 줄어
[쿠키 건강] 우리나라에 수입된 식품은 지난 10년간 식생활 변화로 가공식품 비중은 늘고 농임산물 비중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01~11년간 수입식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식생활 환경 및 식품섭취 패턴 변화로 수입식품 패턴도 바뀌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식약청에 따르면 11년 수입식품 규모는 132억달러로 01년(42.8억 달러)에 비해 208%이상 급증하면서 해마다 20%정도 증가했다. 반면 수입식품 물량은 11년 1346만 톤에서 ‘01년 1052만 톤으로 28% 증가하면서 연 평균 2%증가했다. 이는 수입식품 중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가공식품의 비중이 늘고 농임산물 비중이 줄어드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지난 10년간 외식이 늘고 즉석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등의 식생활 변화로 가공식품의 수입이 늘어나고 있다고 식약청은 설명했다.
수입식품 중 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중량 기준)은 01년 27.1%에서 11년에는 36.6%로 높아진 반면 농임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01년 70.2%에서 11년에는 59.6%로 낮아졌다. 가공식품 수입 물량은 11년 493만 톤으로 01년(285만톤) 대비 73%증가 했으나 농임산물의 경우 11년 801만 톤으로 01년(738만 톤) 대비 8.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입식품 중 중국에서 수입하는 식품 비중은 01년 8.8%(93만톤)에서 11년 18.6%(250만톤)로 증가했고, 미국의 경우 01년 36.6%(385만톤)에서 11년 27.1%(364만톤)로 감소했다.
기호식품인 커피는 생두 규모로 01년 6400만 달러에서 11년 4억8900만 달러로 6배 이상 늘었고, 가공 커피도 01년 1500만 달러에서 11년 1억7900만 달러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11년 일본산 수입식품 규모는 4억6100만 달러로 전년(5억1400만 달러) 대비 10.3% 줄었고, 물량도 5.6% 감소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10년간 외식 늘고 가공식품 소비 증가”
입력 2012-02-10 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