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부모, 자녀에게 비만·대사증후군 대물림

입력 2012-02-08 10:34

[쿠키 건강] 우리 몸의 시한폭탄이라고 불리는 대사증후군이 가정에서 대물림 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상계백병원은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교수팀이 1998년부터 2008년 동안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657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대사증후군이 자녀에게 대물림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대사증후군이 없는 부모에 비해 한쪽 부모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자녀의 대사증후군 발생위험도는 4.2배, 양쪽 부모 모두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자녀의 발생 위험도가 8.7배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이란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등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이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위험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성인 3명 중 1명이 발생할 정도로 유병률이 높다.

이번 연구에서 10대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2~3%로 높지 않았다. 하지만 부모가 대사증후군이 있거나 자녀가 비만해지면 대사증후군 발생위험도가 급증했다.

부모가 대사증후군이 없는 경우 비만인 자녀의 대사증후군 발생 유병률은 18.2%였지만 한쪽 부모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비만인 자녀의 대사증후군 발생 유병률은 29.2%, 양쪽 부모 모두 대사증후군이 있고 자녀가 비만인 경우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53.9%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번 연구로 부모가 비만 혹은 고혈압, 고지혈증, 고혈당 등을 포함한 병력이 있다면 자녀에게 그대로 이러한 질환들이 대물림 될 가능성이 크고, 자녀들이 비만해지면 자녀들이 대사증후군에 걸릴 확률이 기하급수적로 높아지는 것이 확인됐다.

이는 부모의 비만이나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유전적 요소 및 식습관, 운동습관 등 환경적 요소가 모두 자녀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박미정 교수는 “청소년의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한식위주의 식생활이 줄고 집밖에서 사먹는 고단백 고칼로리의 동물성 지방섭취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청소년 시기의 복부비만, 고지혈증, 고혈당이 관리되지 않는다면 그대로 청장년 시기의 성인병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유은경 분당차병원 교수는 “건강 시한폭탄인 대사증후군은 소아청소년에서도 드물지 않으므로 가족력이 있고 본인이 비만인 경우 즉,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빨리 전문의를 찾고 초기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저널인 Diabetes Care 2012년 35호, 2월호에 발표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성지 기자 ohappy@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