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5분건강] 고혈압의 예방과 대책

입력 2012-01-20 13:54
1. 고혈압 검진의 중요성.
건강검진은 고혈압을 비롯한 모든 질환의 조기진단과 예방을 위한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지만 나이가 들면서 고혈압 같은 성인병에 노출됩니다. 또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면서 심각한 심혈관계 합병증으로 이어져 불행한 삶을 살게 됩니다.
따라서 정기적이고 전반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성인병의 조기진단과 예방이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자가 혈압측정이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되나.
가정에서의 혈압측정은 환자의 약물치료 반응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치료의 순응도를 높이고 특히 흔히 말하는 ‘백의고혈압’을 가려낼 수 있습니다. 즉 집에서 편안한 상태로 측정할 때는 정상이던 혈압이 진료실에 와서 의사의 흰색 가운만 봐도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5~6년 뒤에는 실제
고혈압으로 발전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혈압측정이 필요합니다.
또 ‘조조 고혈압’이라는 것이 있는데 아침 기상 시 혈압이 135/85mmHg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뇌졸중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에 아침에 집에서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고혈압 예방은 물론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3. 고혈압을 예방하는 생활습관.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은 단순히 혈압을 낮추는 것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고혈압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첫 번째는 금연입니다. 우리나라 뇌졸중 발생원인 대부분이 고혈압과 흡연입니다. 금연을 1년 정도 만 실천해도 심혈관질환 위험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번째는 과일과 야채 섭취를 늘리고 포화지방 섭취는 줄이는 것입니다.
다음은 금주입니다. 보통 기본 음주량보다 다섯 배 이상 술을 마시게 되면 혈압이 상승합니다. 기본 음주량은 맥주 350cc나 포도주 한 잔, 소주 두 잔 정도입니다.
이밖에 체중조절과 운동도 중요합니다. 운동은 혈압을 4~8mmHg정도 떨어뜨리는데 아침 일찍 하는 것보다는 오후 운동을 권장합니다.

4. 고혈압의 치료법.
고혈압의 치료방법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생활습관 개선으로 혈압을 조절할 수 있고 그 다음은 약물 치료방법입니다.
고혈압 약제는 많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만 55세 이하일 경우에는 ACE 억제제나 ARB 제제, 베타 차단제를 투여하고 55세 이상의 경우에는 칼슘 길항제나 이뇨제 투여를 권합니다.
대부분의 고혈압환자는 한 가지 약제로 조절이 되지 않기 때문에 두 가지 이상의 약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작용이 서로 다른 약제를 저용량으로 투여해 약의 순응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