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국민 10명 중 7명은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헌혈, 장기기증, 대리모, 연명치료 중단 등 최근의 생명나눔 및 생명윤리 이슈와 관련해 최초로 실시한 ‘생명나눔 인식도 조사’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국민 72.3%가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허용할 수 있는 사유로는 가족의 고통 69.4%, 고통만을 주는 치료 65.8%, 경제적 부담 60.2% 등을 꼽았다.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지를 반대하는 이유로는 ‘생명은 존엄하므로 인위적으로 사망에 이를 수 없다’가 54.5%로 가장 많았다. 이 밖에 반대 이유로는 ‘생명은 신이 부여한 것으로 인간의 영역이 아니다’(21.7%), ‘남용의 위험’(18.4%) 등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대다수 국민들은 죽음에 대해 평소에 이야기하거나 생각하지 않으며 죽음을 준비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다수가 ‘누구나 죽기 때문에 죽음은 당연하지만 공개적으로 이야기를 나누지는 않는다’(49.4%)로 답했다.
국민들은 생명나눔 실천 방법으로 ‘헌혈’을 가장 선호했다. 장기·조혈모세포 기증은 헌혈에 비해 참여 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헌혈의 경우에는 조사대상 국민의 40.6%가, 장기기증은 29.2%, 조혈모세포의 경우에는 14.3%만이 향후 기증의사를 표명했다.
기증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막연한 두려움’,‘신체 훼손 우려’ 등의 답변이 많았으며 효과적인 기증 활성화 방안으로는 TV광고 등 홍보 강화를 최우선으로 뽑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복지부가 전문조사기관에 의뢰해 2011년 3월∼12월간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 방식으로 실시(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했고 일부 항목은 의사·간호사·장기기증코디네이터 등 관련 분야 종사자·관계자 450명을 추가 조사한 것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윤형 기자 vitamin@kukimedia.co.kr
국민 10명 중 7명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해야”
입력 2012-01-19 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