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최근 인기리에 종영된 드라마 ‘천일의 약속’ 이후, 알츠하이머 병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 병이 자신들과는 무관하다 생각하던 젊은이들도 이 질병에 대해 더욱 높은 관심을 갖게 되기도 했다.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 병은 65세 이상 노인 중 5~10%가 겪게 되는 흔한 노인 질환으로, 후천적 지적 능력의 상실을 말한다. 특히 최근에는 잦은 스트레스와 음주로 인해, 젊은이들 사이에서도 뇌졸증과 함께 치매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치매발생의 증가에도 알츠하이머 병이나 치매를 예견할 수 있는 특별한 검사 방법이 현재로써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다만 몇 년 전부터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검사 방법 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검사’만이 주목받고 있을 뿐이다.
호모시스테인 검사는 혈중 독성 아미노산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방법 중 하나로 호모시스테인 농도수치가 높을 경우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뇌졸증, 하혈성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이 높아지게 된다.
비타민 전문 병원 ‘리오단 클리닉’에 따르면 지난 6개월 동안 리오단 크리닉을 방문, 호모시스테인 검사를 실시한 121명의 고객들을 살펴본 결과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낮은 사람은 9.0%, 정상인 사람은 45.5%, 높게 나온 사람은 45.5%로 나타났다. 이는 검사 받은 이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이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높게 나온 결과로, 과거에 비해 관련 치료를 받아야 할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는 결과로 분석할 수 있다.
염창환 리오단 클리닉 원장은 “과거에 비해 스트레스가 많고 과도한 업무와 잦은 음주를 습관화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호모시스테인 수치 역시 비례해 증가하고 있다”며 “호모시스테인을 낮추기 위한 해결책으로 비타민 B6, 엽산, B12를 충분히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지 않을 경우 음식을 통한 비타민 섭취로도 개선이 되지만 농도가 높은 경우는 주사 요법이나 경구용 비타민제를 추가로 복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윤형 기자 vitamin@kukimedia.co.kr
“자꾸 깜박해요” 알츠하이머 예방법은?
입력 2012-01-04 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