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제제 사용기준 완화 등 현실적 개선사항 논의
[쿠키 건강] 대한류마티스학회는 최근 류마티스관절염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정부와 개선 사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13일 열된 정책심포지엄에서는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산정특례 범위 확대 △류마티스관절염 조기진단을 위한 기준 개선 △생물학적제제 사용 기준 완화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지원 강화 등 류마티스관절염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주요 안건 중 하나인 조기 진단을 위한 기준 개선 방안으로 항CCP 항체 검진 비용 부담 완화와 MRI 보험 급여 확대에 대한 제안이 이어졌다.
전재범 학회 보험이사는 류마티스인자 검사보다 항CCP 항체 검사가 류마티스관절염 진단에 정확도와 검사 특이성이 높기 때문에 필수 검사로 지정하고 환자 부담 비용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밝혔다.
또 류마티스관절염 1차 치료제인 항류마티스제제의 효과가 불충분해 생물학적제제 사용이 절실한 환자들이 있어 환자들의 조기치료 극대화를 위해 생물학적제제 사용 기준을 보다 현실화된 지표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송영욱 학회 이사장은 “골미란 등의 심각한 관절 손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 중 자가항체 음성인 경우 산정특례 수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안타까운 사례가 보고 되고 있다”며 “중증환자여도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현 상황에 맞는 특례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관계자 패널로 참석한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방혜자 서기관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수가등재부 강지선 부장은 산정특례에서 제외된 수혜 사각지대를 좁히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강지선 부장은 “본인부담 산정특례대상 등록환자의 5년 만기가 2014년이기 때문에 그 이전에 산정특례 대상상병과 관련한 전반적인 재검토 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성지 기자 ohappy@kukimedia.co.kr
정부-학회, 류마티스관절염 치료환경 개선 위해 나섰다
입력 2011-12-19 1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