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가습기 살균제 등 생활용품 안전관리 나선다

입력 2011-12-09 17:25
[쿠키 건강] 최근 가습기 살균제, 방향제 등 생활화학용품 안전관리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정부가 ‘생활화학용품 안전관리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정부는 보건복지부·지식경제부·식품의약품안전청 등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생활화학용품 안전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안전 우려가 있는 생활화학가정용품 원료물질 위해성을 재평가하겠다는 방침을 9일 발표했다.

현재 국내 생활화학가정용품의 문제점으로는 화학물질의 유해성 평가가 미비하다는 점이 지적됐다. 특히 신규화학물질에 국한돼 기존화학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곤란하다는 점도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 국내 유통 화학물질 약 4만3000여종 중에서 약 15%에 대한 유해성 정보만이 확보된 실정이다. 또한 유해성 정보가 있더라도 구체적인 인체 위해성 정보가 부족해 안전 위협이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이번 가습기 살균제 중 세정제로 신고된 제품의 경우 살균제로 분류한 안전성 점검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경부·환경부·식약청 등 정부는 생활화학용품 안전관리대책을 마련하고 안전 우려 생활화학가정용품 원료물질 위해성 재평가하는 한편 품목별 안전기준에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신설하고 표시사항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내년 3월까지 우려가 높은 생활화학가정용품에 사용된 화학물질 성분조사 및 위해성 정밀평가대상을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인체와 관련성이 높은 세정제, 방향제, 탈취제, 물티슈 등을 우선 조사해 제조·수입 업체들에게 안전관리 품목에 포함돼 있는 화학성분을 제출하게 한다는 목표다

또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해 생활용품 중 위해 우려가 높은 제품 내 화학물질 위해성평가 실시한다. 대상 제품의 특성을 파악해 위해 우려가 있는 물질 함유, 노출특성 등 우선순위에 따라 관계부처가 위해성을 평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위해성 평가 결과를 해당품목 안전기준에 반영해 품목별 안전기준에 대한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신설하고 표시사항에 반영한다.

정부 관계자는 “원료 물질 위해성 재평가하는 등 관계 부처에서는 주요 과제별로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해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윤형 기자 vitamin@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