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증 최소화 치료방향과 강도 결정 단서 제공
[쿠키 건강] 국내 연구진이 소아청소년의 악성뇌종양 중 가장 흔한 수모세포종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특정 유전자를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성과는 치료 과정에서 합병증을 최최소화하는 치료방향과 강도를 결정할 수 있는 단서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 신경외과 김승기 교수(사진 왼쪽)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박웅양 교수(오른쪽)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수모세포종의 게놈분석에 대한 공동연구’ 결과를 미국 뇌종양학회지(誌)에 게재했다고 5일 밝혔다.
김승기·박웅양 교수 연구팀은 합병증을 줄이는 치료법을 찾기 위해서 악성뇌종양 중에 하나인 수모세포종을 앓고 있는 3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조직의 전체 종양게놈에 대해 RNA, DNA, 염색체의 세 단계에서 유전자의 변이와 발현양상을 관찰하는 다층생명정보 분석 연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유전자 중 Wnt, MYCC, MYCN와 17번 염색체가 예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Wnt 유전자의 발현은 좋은 예후를 보였고, MYCC, MYCN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높거나 17번 염색체 단완의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못했다.
수모세포종은 치료율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약 3분의 1의 환자가 말기암으로 진행된다. 또 수술과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치료 과정이 쉽지 않고 치료 강도가 높아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도 적지 않았다. 따라서 대다수 의사들은 합병증 최소화를 위해, 수모세포종 환자들을 임상적으로 좋은 예후를 갖는 환자와 나쁜 예후를 갖는 환자로 구분해 치료 방향과 강도를 달리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이번 연구 성과에 대해 김승기 교수는 “수술 후 종양조직에서 Wnt 유전자, MYCC/MYCN 유전자의 발현과 17번 염색체 단완의 소실을 확인하면 좋은 예후와 나쁜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항암방사선 치료의 강도와 기간을 조절해 환자들의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는 과학재단과 보건복지부의 연구비지원을 받아 시행됐으며, 미국 신경종양학회지 (Neuro-Oncology; IF= 5.483)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국내 연구진, 수모세포종 예측가능한 특정 유전자 규명
입력 2011-12-05 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