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우리나라 50대 이상 남성들의 전립선비대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전립선의 증식증(전립선비대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전립선비대증 진료인원은 2006년 45만8955명에서 2010년 76만7806명으로 5년간 30만8851명(67.3%)이나 늘었고, 5년 새 연평균 증가율은 13.7%를 기록했다. 또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총진료비도 2006년 555억원에서 2010년 930억원으로 5년간 약 375억원(67.4%)이나 증가했고, 진료비 연평균 증가율은 13.8%였다.
연령별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지난해 기준으로 50대가 23.3%, 60대 34.0%, 70세 이상 33.2%로 50대 이상의 고연령층이 90.5%의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심사평가원 측은 전립선비대증은 30대까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발병 1.1%), 40대부터 점차 발생하기 시작해(약 8.4%), 50대 이상에서 주로 진료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또 고연령층으로 갈수록 연평균 증가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평균 전립선비대증 환자 증가율은 50대 12.5%에서 70대 이상은 17.4%였다. 따라서 인구고령화를 감안할 때 노인 전립선비대증환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이민성 심사평가원 심사위원은 “전립선비대증은 간단하게 전립선이 비대해져 나타나는 일련의 하부요로증상(LUTS)이 정상적인 생활과 충분한 수면을 방해하는 것을 뜻한다”며 “하부요로증상이란 남성에서 빈뇨, 야간 빈뇨, 절박뇨, 지연뇨, 단절뇨 등 방광의 저장 및 배출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을 통칭해 정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전립선비대증의 정확한 발병 원인과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의 노화과정과 남성호르몬을 분비하는 고환이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전립선비대증은 신속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병은 아니지만, 장기간 지속될 경우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합병증으로 요로감염, 혈뇨, 급성요폐, 방광결석, 신장기능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민성 심사위원은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경우 편안한 마음을 갖고 생활하며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과음 하지 않고, 금연, 꾸준한 운동을 하면서 과일과 채소류 등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좋다”며 “콩(된장, 두부), 토마토, 시금치, 호박, 녹차, 마늘 등이 전립선비대증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고 조언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50대이상 남성 ‘전립선비대증’ 환자 크게 증가
입력 2011-12-04 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