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예방·조기검진 활성화해야 암사망률 낮춰

입력 2011-11-30 08:45
갑상선암·대장암 급증…지방병원도 수준 높이면 환자 몰려

[쿠키 건강] 일차예방과 조기검진 등을 활성화 시켜 암 부담을 감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9일 대한 암 연구재단이 주최한 ‘서울국제암심포지엄’에서 박은철 교수(연대의대 예방의학교실)는 ▲일차예방 ▲조기검진 ▲진단치료 ▲완화의료를 활성화 시켜 암 부담을 감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정부에서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지금보다 더 활성화 시켜 암 조기 진단을 통해 사망률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것이 박 교수의 설명이다.

박은철 교수는 “유방암과 갑상선암 등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라면서 “특정 나이대에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면 조기검진을 통한 진단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정부는 ▲흡연율 감소 ▲감염관리 ▲건강 식생활 실천 ▲운동 향상 비만 감소 ▲음주율 감소▲직업성 발암 관리 등을 통해 일차예방을 활성화 시키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대국민 암예방실천 생활화를 위해 암예방 수칙, 실천전략 및 모델 제시, 교육과 금연콜센터(1544-9030)를 운영 하고 있다.

박 교수는 “흡연은 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며 “흡연율 감소를 통해 예방 가능한 암 발생을 최소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박은철 교수는 암 부담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조기검진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정부는 수검률의 획기적인 증가로 양질의 암 검진의를 보장하고 전국민 관리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박 교수는 신뢰하고 참여하는 암 검진을 위해서는 접근도와 검진의의 질을 확인해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조기검진을 시행할 때 수검률 향상과 과도한 판단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암 보장성 강화를 위한 길잡이를 마련하고 골수기증희망자 검사비 지원사업을 마련하는 등 진단치료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박 교수는 “암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조건 최고가 돼야 한다”며 “지방에 있는 병원도 최고가 된다면 수도권에 있는 병원보다 더 환자가 몰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완화의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국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완화의료기관 지정 사업이 40개소의 17.3억원이 지원됐다”면서 “늘어나는 말기암환자 관리와 재가암환자 관리를 위해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국가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은철 교수는 이 외에도 기반강화와 교육홍보, 등록평가, 연구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암 부담 감축방안을 제시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포뉴스 박애자 기자 aj2214@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