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치과치료가 끝나고 꼭 듣는 말 중 하나가 ‘스케일링 받으셔야죠?’일 것이다. 구강 건강을 위해 스케일링이 필수임을 알고는 있지만 매번 치과에 갈 때마다 스케일링 권유를 받는 것이 부지기수라면 이상적인 스케일링 주기가 궁금할 수도 있겠다.
이에 관련 전문의들은 스케일링에 정해진 기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1년에 2회 정도가 적당하다고 조언한다. 만약 평소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꾸준히 사용하고 있다면 전문의의 조언에 따라 1년에 1회 정도의 스케일링만 받아도 충분할 수도 있다.
◇정기적인 스케일링, 잇몸 건강 위해서도 필수
스케일링을 받고나면 치석이 제거되고 시술 후 얼마 동안 구강 전체가 개운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스케일링 후 일반적으로 느낄 수 있는 밝아진 치아 색, 개운한 느낌 외에도 잇몸건강을 위해서 정기적인 스케일링은 필수라고 한다.
전문의 곽호정 원장은 “스케일링은 잇몸 속 프라그와 치석을 제거하는 치료다. 치석, 치태는 칫솔질만으로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스케일링이 필수다”며 “잇몸질환의 주원인이 바로 치석과 플라그임을 생각할 때, 스케일링은 잇몸질환 예방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고 전한다.
그런데 비교적 간단한 치료인 스케일링이 쉽지 않은 이들도 있다. 스케일링 중, 치아가 흔들리고 시리는 것 같은 불쾌한 기분 때문이다. 물론 치석으로 인해 벌어졌던 치아가 제 자리를 잡아가면서 흔들리는 느낌이 들 수도 있고, 부어 있던 잇몸이 수축되고 치아 뿌리가 노출되면서 이 시림이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치아가 흔들리거나 시리는 등의 느낌은 시술 직후 잠시 나타나는 것으로 며칠이 지나면 사라지는 증상이다. 하지만 치과공포증이 있는 경우 스케일링 시술을 받는 것 자체도 힘들뿐만 아니라 스케일링 후의 이러한 불쾌감 또한 견디기가 쉽지 않다.
◇수면마취치료, 치과공포증 환자의 치아 관리에 필수
치과시술에 대한 공포, 불쾌감 등으로 인해 스케일링을 미뤘을 때 방치된 상태로 쌓인 치석, 치태가 잇몸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은 순식간이다. 잇몸질환이 심해질수록 치료는 더욱 복잡하고 어려워질 수밖에 없고, 그럴수록 치과공포증이 심해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 때, 치과공포증 환자도 스케일링과 잇몸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방법 중 하나가 수면치과치료다. 진정요법을 이용한 수면치료는 자고 일어난 듯한 편안한 느낌 속에서 치과치료를 받을 수 있어 치과공포증이 있는 이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전문의 곽호정 원장은 “수면치료 중 모니터로 심전도, 이산화탄소 농도,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등을 끊임없이 체크하는 것은 물론 정확하게 약물을 주입하는 정맥 마취기구 등을 갖춰 정확하고 안전한 수면마취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전한다.
단, 난이도 있는 시술인 만큼 수면마취 경험이 풍부한 의사가 집도해야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테라스치과 곽호정 원장의 경우 미국 뉴욕시립병원 마취과에서의 수년간 정맥마취 수련을 바탕으로 현재까지 6000회 이상의 임상케이스를 시행하여 수면치과 치료부분에서 그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정기적인 스케일링이 간단한 예방책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공포감 때문에 미룰 경우 이로 인해 구강 상태가 심각하게 악화될 수도 있다. 이에 수면마취로 부담을 최소화한 스케일링, 잇몸치료를 통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치과공포증에 지켜주지 못한 잇몸건강, 수면마취로 OK
입력 2011-11-23 1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