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22일 우리 국민들이 즐겨 먹는 만둣국, 갈비탕, 콩나물해장국, 해물칼국수 등 외식음식 130여종의 1인분 중량을 분석해 해당 음식별 1인분의 중량과 영양성분을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을 6개 대단위로 구분해 각 대단위에서 인구 및 외식업체 수 등을 고려해 3개의 중심도시를 선정해 이뤄졌다. 식약청은 도시의 4개 음식점을 임의 선택(random sampling)하고 대상음식을 구입해 분석을 실시했다.
조사시 1인분 중량의 설정 방법은 전국에서 구입한 외식음식 72개의 중량 값을 활용해 평균, 최대값, 최소값, 최빈값, 중간값을 산출한 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섭취량 등과 비교해 1인분 중량을 결정했다.
식약청은 식당에서 제공되는 1인분의 중량을 분석한 결과, 중량 차이는 약 2배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외식 음식인 자장면의 경우 1인분 제공 중량은 평균 607g으로 최소 400g에서 최대 840g까지 약 2배 정도 차이를 보였고, 짬뽕도 마찬가지였다. 만둣국의 경우 1인분으로 제공되는 중량은 최소 340g에서 최대 940g으로 차이가 2.7배 정도 차이가 났다.
자료 분석 결과 제공되는 130여종의 음식양은 다르지만, 1인분 기준의 음식 칼로리가 높은 순서는 삼계탕 918칼로리(kcal, 1인분 중량 1000g), 잡채밥 885kcal(650g), 간자장 825kcal(650g), 자장면 797kcal(650g), 제육덮밥 782kcal(500g)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표 참조)
식약청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음식 영양성분을 정리한 ‘외식음식 영양성분 자료집’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실물 크기의 외식음식 영양성분 자료집 웹 서비스’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외식음식 영양성분 자료집’은 국민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1인분의 실물 크기 사진과 함께 해당 식품 1인분의 열량, 당류, 트랜스지방, 포화지방, 나트륨 등 20여개 영양성분을 표시하게 된다.
식약청은 “이번 자료집의 경우 인구 및 외식업체 분포도 등을 고려해 선정된 음식점의 실제 판매 음식을 분석한 것으로, 해당 영양성분 정보가 우리 국민이 실제 먹는 음식에 대한 실측값이라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