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새로운 의료기술을 활용하고 첨단 정보통신기술(IT)을 보건의료(헬스케어) 분야에 보다 활발하게 접목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관심과 제도, 정책, 법적 변화가 뒷받침 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미국과 호주의 경우처럼 헬스케어 IT만을 전담할 수 있는 정부기관 설치도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대한병원협회와 GE헬스케어코리 주관으로 17일 개최된 ‘건강한 고령화,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커넥티드 코리아 콘퍼런스’의 기자간담회에서 경제연구조사 전문기관인 EIU(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니트) 데이비드 라인 수석편집장은 ‘한국 헬스케어 IT의 미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의료산업 현황분석, 의료 관계자 인터뷰, 해외사례 조사 등 심층 연구와 분석을 통해 국내 보건의료산업의 현황과 미래 발전 방향을 가늠하기 위해 작성됐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산하 전문조사 시관인 EIU가 연구를 진행했으며,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와 복지부, 지경부 담당 공무원, 해외 학자 등과의 인터뷰 내용도 반영됐다.
데이비드 라인 수석편집장은 “한국은 다른 국가가 부러워할 정도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의료보험제도를 현재 운영하고 있다”며 “하지만 정부는 여러 요인 가운데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인해 2020년에는 의료비 지출이 현재의 3배 수준인 256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헬스케어 IT는 보건의료의 질 향상, 효율적이고 균형잡힌 의료전달체계 구축, 의료비 절감 등의 혁신을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헬스케어 IT는 기술적으로 매우 발전해 있고, 관련 기업과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성공적인 헬스케어 IT구축을 위해서는 원격진료에 제한적인 의료법과 환자들의 헬스케어 IT에 대한 인식 부족, 폭넓은 수요의 부재 등이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다고 라인 수석편집장은 지적햇다.
따라서 데이비드 라인 수석편집장은 “환자와 의사들에 대한 헬스케어 IT사용시 인센티브 등 유인책을 적극 마련하고, 헬스케어 IT를 전담하는 정부기관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고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이철 대한병원협회 부회장(연세대의료원장)은 “최근 연세의료원을 비롯한 여러 병원들이 스마트폰으로 진료 예약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헬스케어 IT 도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의사와 환자의 대면진료만을 허용하는 현행 의료법, 이해단체들 간의 의견 차이, 투자 유인책 등 헬스케어 IT를 도입하기 위해 선결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로랭 로티발 GE헬스케어코리아 사장도 “한국은 보건의료의 난제를 해결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들인 우수한 의료기관, 세계적 수준의 IT인프라, 헬스케어 산업 발전을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 등을 두루 갖췄다”면서 “한국 보건의료시스템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두가 한걸음 나아갈 때”라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헬스케어 IT 전담하는 정부기관 설립 절실하다
입력 2011-11-17 1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