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자주 찾는 의사가 있는 환자들이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김경우 교수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단골의사가 있는 환자들이 단골의사가 없는 환자들에 비해 건강검진 후 사후 관리율이 높았다.
이번 논문은 대한가정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 발표된 연구결과로 서울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수검자 157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단골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수검자 비율은 14%, 단골의료기관이 있다고 응답한 수검자 비율은 22%로 나타났다. 또 일차의료서비스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인 일차의료평가도구(KPCAT)의 점수는 단골의사가 없는 것(64점)보다 단골의사가 있는 환자 군(77점)에서 높았다.
단골의료기관으로는 동네의원이 54%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병원 29%, 종합병원과 한의원은 9%의 비율을 보였다.
이번 결과는 건강검진 후 이상소견이 있을시 단골의사가 있는 경우 단골의사가 없는 경우보다 생활습관 개선 및 약물 치료를 시작하는 비율 높아 만성질환의 조기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경우 교수는 “지속적인 진료를 통해 단골 의사가 환자의 개인별 특성을 잘 알고 증상이 없이 진행되는 질병들과 건강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해 생활습관 개선과 조기 치료를 통해 큰 질병으로의 진행을 예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단골병원이나 의사가 없다고 답한 응답자의 71%에서도 건강문제 발생시 단골의사에게 진료를 받는 것을 희망한다고 응답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질병 조기 발견과 예방의 중요성의 관계를 시사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성지 기자 ohappy@kukimedia.co.kr
단골의사 있는 환자, 약물 치료 더 잘한다
입력 2011-11-14 1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