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5분 건강] 고혈압의 정의와 종류

입력 2011-11-10 18:40
안녕하세요.
내과 전문의 이정구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고혈압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Q) 고혈압이란 어떤 질환인지.

A) 혈압이란 피가, 즉 혈액이 혈관에 가해지는 힘을 말합니다. 보통 120/80mmHg면 정상 혈압이라 말합니다. 여기서 120mmHg은 심장이 수축할 때 생기는 혈압을 뜻하고, 심장이 이완될 때 생기는 80mmHg이라는 수치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보통 혈압이 140/90mmHg를 넘겼을 때 고혈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혈압이 150/100mmHg가 된다면 치료를 필요로 하는 혈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150/100mmHg 이상일 때는 다른 운동요법이나 식사요법으로는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약 복용과 식이조절 등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것이 고혈압입니다.





Q) 고혈압의 대표적 증상은.

A) 대체로 증상이 없습니다. 따라서 흔히 ‘침묵의 살인자’라 부르기도 하죠. 그만큼 무서운 병입니다. 만약 증상이 있다면 드물긴 하지만 두통과 현기증,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코피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눈에 충혈이 생기거나 어지럼증 등이 생길 수 있지만 고혈압은 방금 말씀드렸다시피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기적 혈압 체크가 필요합니다.


Q)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의 차이는.

A) 혈압은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이 있습니다. 보통 원인이 없는 혈압을 일차성 고혈압이라 하는데, 대부분 심장에서 기인하게 됩니다. 반면 원인이 있는 경우는 이차성 고혈압으로 볼 수 있습니다. 5% 이내로 드물지만 콩팥 또는 콩팥 위에 위치한 부신에 종양이 있거나 갑상선에 이상이 있을 경우 이차성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또 스테로이드라는 약물과 소염진통제에 의해 자주 생길 수 있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사실 더 위험한 건 이차성 고혈압입니다.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제거해야만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질환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정밀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Q) 소아 고혈압이란.

A) 같은 나이와 성별, 신장을 지닌 소아 백 명 가운데 혈압이 높은 다섯 명을 소아성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소아성 고혈압이 중요한 이유는 예년에는 유병율이 1% 정도에 불과했지만 최근엔 1% 이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소아 고혈압이 발생할 경우 성인이 된 뒤에도 고혈압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국민경제뿐만 아니라 건강상으로도 많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아의 혈압을 정상 범위 안에 두도록 부모가 먼저 신경 써야 할 겁니다.


Q) 임신성 고혈압이란.

A) 임신성 고혈압은 특별한 질환 없이 임신 중 혈압이 높아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때는 콩팥으로도 단백이 빠지지 않고 다른 원인 질환 없이 꾸준히 혈압이 높은 경우를 뜻합니다. 현재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습니다. 다만 많은 학자들은 태반의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거나 산모의 문제, 즉 비만과 당뇨 또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의 섭취가 부족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산후 12주가 지나고 난 다음에는 정상 혈압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산후 정기적인 혈압 체크만으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증상입니다.


Q) 고혈압 예방법.

A) 학문적으로는 위험인자라 이야기합니다. 위험인자는 특히 가족력, 다음으로 음주와 흡연, 비만, 운동 부족, 수면 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짜게 먹는 식습관이 가장 큰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짠 음식을 반만 줄여도 혈압 조절에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아울러 체중 조절, 운동과 함께 음주, 흡연을 삼가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고혈압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