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경기도(도지사 김문수)가 응급실 예방가능 사망률 감소, 심정지 생존율 향상 등을 위한 ‘응급의료시스템 기능 향상’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
경기도는 도내에서 운영중인 응급의료시스템 기능을 향상시켜 현재 33%인 응급실 예방가능 사망률을 2012년까지 25%로 낮추고, 심정지 생존율도 3.3%에서 4% 이상으로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 방안은 응급환자의 병원 전 단계 사망률 저감을 위해 마련됐다.
우선 경기도는 구급차 운전자, 학교 보건교사, 경찰공무원, 산업체안전 보건관계자 등 환자 발생 시 현장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도내 필수인원 1만5000명 이상을 매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 다중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심장마비 환자에게 충격을 가해 소생시키는 자동제세동기를 매년 100대 이상 보급해, 현재 설치된 604대를 내년까지 700대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도와 시·군 보건소를 비롯한 응급의료기관, 119구급대, 1339응급의료정보센터 등을 유기적으로 아우르는 협력체계 강화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관련기관 합동 워크숍과 권역별 지역협력 간담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기존 응급의료기관과 119구급대와의 이원화된 시스템 문제도 해소할 예정이다.
아주대병원 및 의정부성모병원에서 지정·운영중인 권역응급의료센터 2개소를 올해 7월부터 성남시를 중심으로 하는 중남부권(분당서울대병원)과 고양시를 중심으로 하는 북서부권(명지병원)에 추가로 지정해 4개소로 확대·운영한다.
경기도는 이천, 여주, 양평지역의 교통사고 등 응급환자 발생에 따른 불안요인 해소를 위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경기도립의료원 이천병원에 국비와 도비 총 27억원을 2012년에 투자해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응급실 과밀 해소를 위해 올해부터 시범운영 중인 소아전용 외래응급실 2개소를 면밀히 분석해, 향후 4개소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올해 12월 보건복지부 공모예정인 중증외상센터설치를 위해서도 보건복지부와 적극적인 협의를 추진하는 등 경기도 응급의료시스템의 기능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경기도 응급의료시스템 기능 향상 적극 나선다
입력 2011-11-08 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