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요폐로 응급실 찾은 남성 10명 7명은 전립선비대증이 원인
[쿠키 건강] 소변을 볼 수 없어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는 급성요폐로 응급실을 찾은 남성환자 10명중 7명은 전립선비대증이 원인이라는 조사결과 나왔다. 이에 따라 날씨가 춰워지는 겨울철 전립선비대증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한비뇨기과학회가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전국 22개 비뇨기과 수련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비뇨기과 환자 34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8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조사 대상 중 급성요폐 환자는 8.05%인 279명으로, 비뇨기과 환자 10명중 1명꼴이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를 남성과 여성의 성비로 분석한 결과 급성요폐는 남성이 83.8%로(234명) 압도적으로 많았다.(그림 참조)
비뇨기과학회 측은 이처럼 남성에게 급성요폐가 많은 이유는 전립선비대증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 결과 응급실을 방문한 남성 급성요폐 사례의 67.9%(159명)가 전립선비대증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요폐는 갑자기 소변을 볼 수 없어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는 응급상황으로 하복부 통증이 심한 질환이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방광근육의 수축력이 소실돼 치료 후에도 방광기능 회복이 불가능해 질 수 있고, 신장이 커져 신장기능이 저하되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지속적인 요폐는 방광결석이나 방광게실 형성, 신장기능 상실, 요로감염 및 신우신염 등의 결과를 초래해 생명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전립선비대증, 기온 낮아지면 요폐 증상 발생 우려 높아져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 크기가 정상 크기보다 점점 커지는 질환으로 장년, 노년층에 빈발하는 대표적인 남성 질환이다. 전립선의 크기가 커지며 요도를 압박해 소변 횟수가 평상시보다 증가하거나, 자는 도중에 깨 화장실을 가기도 하고,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규성 대한비뇨기과학회 홍보이사(삼성서울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기온이 내려가면 비대한 전립선으로 압박된 상태의 요도가 제대로 이완되지 않아 갑작스러운 급성요폐를 겪을 수 있다며, 평소에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급성요폐 예방을 위해서는 커피, 녹차 등 이뇨작용을 촉진시켜 소변량을 늘리는 음료와 술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또 콧물감기약에 사용되는 항히스타민과 기침감기약 에페드린 성분은 방광 수축을 억제해 요폐를 유발할 수 있어, 이러한 성분의 감기약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요폐의 근본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해야 한다. 이규성 홍보이사는 “전립선비대증은 연령이 증가하며 그 정도가 점차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으로, 정상적인 전립선크기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치료가 중요하다”며 “50대부터 전립선 크기와 상태를 정확하게 검진하고 관리하게 된다면 증상이 악화되거나 요폐 증상과 같은 심각한 배뇨 장애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쌀쌀한 날씨, 전립선비대증 남성 ‘소변불통’ 주의
입력 2011-11-08 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