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식습관,‘역류성 식도염’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입력 2011-11-06 12:01
최근 5년간 진료인원 연평균 18.3% 증가

[쿠키 건강]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역류성 식도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역류성 식도염 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06년 146만2000명에서 2010년 286만2000명으로 나타나 최근 5년동안 연평균 1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도 2006년 3082명에서 2010년 5852명으로 연평균 17.4% 증가했다. 2010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남성 4870명, 여성 6850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2000명 가량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를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은 60대(1만493명), 70대(1만320명), 50대(8199명), 80대이상(7071명) 순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60대(1만2702명), 50대(1만1219명), 70대(1만1138명), 40대(8292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경북이 6321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이 4602명으로 가장 적었다. 최근 5년 동안(2006~2010년)의 연평균 증가율은 울산이 18.1%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전남은 9.3%로 가장 낮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서정훈 교수는 역류성 식도염 증가 원인에 대해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비만이 주된 원인인데다 또한 진단 검사인 상부위장관 내시경이 건강검진에서 기본검사로 시행되는 횟수가 증가하면서 진단율이 증가하고 있고, 여성의 경우 폐경 후 증상이 증가하는 것도 원인으로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방을 위해선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줄이고, 조이는 옷을 피해 복압 증가를 피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금연, 금주, 취침전 음식 섭취와 식후 즉시 눕는 행동을 금하고, 역류를 조장할 수 있는 기름진 음식이나 탄산음료 등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