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전문의 박기현입니다.
오늘은 고혈압에 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 혈압약을 한 번 복용하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데.
A) 약을 먹는 이유는 혈압 조절을 위해 먹는 것입니다. 혈압이 높아지면 각종 합병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약을 먹게 됩니다. 혈압을 떨어뜨리는 방법은 약뿐만 아니라 음식조절, 운동 등 여러 생활요법이 있습니다. 혈압만 정상이라면 고혈압으로 생기는 심혈관 합병증이나 뇌혈관 합병증 같은 질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간혹 젊은 연령대에 고도비만이나 음주로 인한 고혈압이 나타나는 경우 생활습관만 조절하면 정상화될 수 있기 때문에 약을 평생 먹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대체로 나이를 먹을수록 혈압도 상승하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는 꾸준히 복용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적으로 약을 반드시 평생 먹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혈압이 정상화되고 생활요법을 통해 조절 가능하다면 굳이 약을 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건 혈압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이지 혈압약을 먹느냐 먹지 않느냐가 중요한 게 아닙니다.
Q) 혈압약을 오랫동안 먹으면 부작용 때문에 좋지 않다고 하던데.
A) 약의 종류가 많지 않던 초기에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좋은 약들이 개발되고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발생한다면 다른 계열의 약으로 바꾸면 됩니다. 또 평생 약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는 환자가 많습니다. 약에 대한 부작용은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고 담당의사와 상의해 적절한 약을 선택하는 게 중요합니다.
Q) 정상 혈압이면 고혈압 위험이 없다고 생각해도 되는지.
A) 혈압은 일중변동이 굉장히 심합니다. 따라서 기준 혈압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환자 대부분 어떤 경우에는 혈압이 높고 어떨 때는 낮을 수가 있는데요. 기준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유지하면 고혈압 환자로 볼 수 있습니다. 가장 편안한 상태에 혈압을 측정해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면 그 수치를 정상 혈압으로 판단하고 그 생활 상태를 유지하면 됩니다. 간혹 기준 혈압이 계속 높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혈압 측정 시 긴장으로 인해 혈압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평소 활동할 때, 운동할 때, 그리고 잠들기 전 혈압을 측정하는 24시간 혈압 측정 검사 방법을 통해 정확한 혈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스로 혈압을 측정했지만 기준 혈압을 인지하기 어렵다면 24시간 혈압 측정 검사를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Q) 쉽게 화를 내는 사람은 고혈압 위험이 높다고 하는데.
A) 정확하지 않습니다. 화를 낸다고 해서 반드시 혈압이 올라가는 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하다고 말씀드리지 못합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격이 급하거나 경쟁적이고 잘 참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경우에도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성격이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쟁적이고 조급한 것보다는 여유롭게 사는 것이 고혈압에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Q) 나이가 들기 전에는 따로 혈압을 체크해 볼 필요가 없다는 얘기도 있는데.
A) 정기적인 혈압 체크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혈압 자체는 자각 증상이 없기 때문에 고령이 될 때까지 혈압 체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갑자기 풍으로 쓰러지거나 새벽에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노인 대부분이 고혈압 환자입니다.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다보니 그냥 지나쳤다가 어느 날 갑자기 고혈압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고혈압의 또 다른 별명이 침묵의 살인자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평소 정기적으로 혈압 체크를 하고 혈압이 있다면 반드시 혈압 조절을 통해 정상 혈압을 유지해야만 중풍이나 심근경색, 협심증 같은 혈관 질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혈압으로 인한 사망자가 많고 만성심질환 원인 2위가 고혈압입니다. 그 외에도 수많은 합병증이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정기적 혈압 체크와 꾸준한 혈압 관리가 중요하고 특히 노년의 경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
Q) 뚱뚱한 사람은 혈압이 높을 확률이 높은지.
A) 네 맞습니다. 보통 정상 체중보다는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의 혈압이 더 높습니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10kg정도를 감량하면 확장기 혈압이 10mmHg가량 떨어지기 때문에 체중과 큰 관련이 있습니다. 또 고혈압환자의 절반은 당뇨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고, 이와 관련한 가장 큰 원인은 흔히 알려져 있는 대사증후군으로 보고 있습니다. 결국 운동은 멀리하고 기름기 있는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경우 고혈압은 물론 당뇨까지 생기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고혈압은 생활습관 때문에 생기는 병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음식이 워낙 짜기 때문에 조금 싱겁게 먹는 습관이 굉장히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고혈압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