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수능시험(11월10일)을 전후해 ‘공부 잘하는 약’, ‘살빼는 약’, ‘몸짱 약’ 등 청소년층의 오·남용 의약품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1일 밝혔다.
일부 수험생들 사이에서 ‘공부 잘 하는 약’으로 알려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는 주의력이 결핍돼 지나치게 산만하게 행동하는 증상(ADHD), 우울성신경증, 수면발작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건강한 수험생이 복용할 경우 오히려 신경이 과민해지거나 불면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09년부터 10년까지 식욕감소(154건), 불면증(46건), 체중감소(21건), 두통(20건) 등 총 306건의 부작용이 보고됐다. 또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최근 이 약물이 ‘건강한 어린이의 돌연사’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그 연관성에 대해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히는 등 이 치료제의 사용에 대해 의료 전문가와 충분히 상의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아울러 수능 이후 여학생들에게 인기가 높은 일명 ‘살 빼는 약’ 또한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오·남용에 주의해야 한다.
식욕억제제는 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일 때 반드시 4주 이내로 복용해야 하며 4주간 복용 후에도 효과가 없으면 복용을 중단하고 3개월 이상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혈압상승, 가슴통증, 불안, 불면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과량 복용 시에는 의식을 잃거나 혼란, 환각, 불안, 심한 경우 사망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복용기간과 복용량에 대해서도 의사의 복용지시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남학생들에게 ‘몸짱 약’으로 통용되는 근육강화제도 오·남용이 우려된다. 근육강화제로 오·남용되는 ‘단백동화스테로이드제’는 ‘남성 성선기능저하증’과 ‘수술이 불가능한 유방암’ 등에 사용되는 전문의약품으로 신경과민증과 내분비계 이상, 황달, 식욕부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쉰목소리, 여드름, 색소침착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남성은 대량 복용 시 정액감소, 정자감소 등 정소기능억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식약청은 이들 의약품이 의사의 진단과 처방이 반드시 필요한 전문의약품인 만큼 오·남용되지 않도록 11월 한 달 동안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통해 집중적으로 홍보하는 한편 청소년 및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마약류 홍보·교육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마약류 의약품 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립시킨다는 계획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공부 잘 하는 약’, ‘몸짱 약’은 없어요”
입력 2011-11-01 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