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2008년 이후 현재까지 A형 간염 보균자의 혈액을 수혈 받아 2명이 감염된 사실이 확인됐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영희(민주당) 의원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HAV 검사결과 및 양성혈액 출고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총 14명의 A형간염 보균자가 헌혈 해 이 혈액으로 총 24개 혈액제제(농축적혈구 11개, 농축혈소판 12개, 신선동결혈장 1개)로 만들어졌다. 이 가운데 2008년 6월에 헌혈한 혈액 중 농축적혈구를 수혈 받은 30대 임산부가 처음으로 A형 간염 감염됐다. 이후 2010년에는 감염된 사례가 없다가 금년 4월에 헌혈한 혈액 중 농축혈소판을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수혈 받은 환자도 A형 간염에 감염된 것으로 추가 확인된 것이다.
A형 간염은 대부분 감기처럼 앓고 지나가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고 회복이 되지만, 20세 이상의 성인에게는 급성 간염이 유발되고 한 달 이상 입원이나 요양을 해야 하는 심각한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연령이 높거나 B형, C형 간염 등 만성 간 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간염 증상이 급속도로 악화되어 혼수상태로 빠질 수 있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잠복기는 10일 내지 40일 정도로 알려져 있다
최 의원은 “헌혈을 하는 당사자도 A형 간염 잠복기로 인해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다”며 ”그럼에도 중증 질환자가 수혈을 받을 경우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문진 강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18대 국회 마지막 국감-복지위] 수혈했다가 A형 간염…08년 이후 2건 확인
입력 2011-10-04 0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