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해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에 따른 18개 지정품목 구매기준 이행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박상은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17개 정부부처가 구매한 중증장애인생산품 총액은 관련 품목 구매총액 6,510억원 대비 6.53%에 불과한 425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부처별로 복사용지, 문서파일 등 18개 품목에 대한 구매기준 이행현황을 보면, 고용노동부가 12개 품목에서 기준을 넘기지 못했으며, 교육과학기술부가 11개, 기획재정부와 농림수산식품부, 행정안전부, 국가보훈처 등의 부처가 각각 10개 품목에서 기준을 넘기지 못했다.
구매액 기준으로는 행정안전부가 관련 품목 1,162억원 어치를 구매하면서 중증장애인생산품은 그 0.55%에 불과한 6억 3천만원 어치만을 구매하는 데 그쳐 구매율이 가장 낮았으며,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가 각각 3.62%, 5.30% 등으로 뒤를 이었다. 절대액수로는 3개 품목만 구매한 법제처가 3,200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반면 여성가족부는 구매기준에 미달된 품목이 없었으며, 제도를 주관하고 있는 보건복지부는 4개 품목에서 기준을 넘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우선구매제도는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소득보장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정부가 솔선수범해 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구매율을 높여야 한다”며 “특히 장애인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보건복지부로서는 타 부처보다 모범적으로 장애인 생산품을 우선구매해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가 없었어야 했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장애인생산품 구매에 가장 인색한 부처는?
입력 2011-09-29 1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