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헌혈자의 혈액선별과정 중 나타난 에이즈(HIV) 양성 반응자에 대한 최종 확인 과정을 책임지는 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체계 부실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박상은 의원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대한적십자사와 한마음혈액원이 혈액선별검사를 통해 부적합 판정을 받은 22만6368건 중 HIV의심 판정을 받은 1만4884건의 혈액에 대한 사전·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적십자사가 2007년 이후 혈액선별과정에서 HIV 의심 혈액으로 확인된 1만4884건 중 확진기관에 검사를 의뢰한 건은 7000여건이고 그중 확진기관인 국립보건연구원,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진양성 HIV 혈액으로 판명된 것은 단 2건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 과정 중에서 보건복지부는 헌혈 혈액선별과정 중 HIV 의심 혈액의 확진 현황에 대한 보고 및 현황관리를 논의한 적도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박 의원은 “지금의 혈액선별검사가 2004년부터 5년 동안 3000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돈을 쏟아부어서 만든 결과라고 믿고 싶지 않다”며 “질병관리본부 검사담당자도 이해하지 못하는 대한적십자사의 혈액관리 시스템에 대해 복지부가 나몰라라 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배신”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18대 국회 마지막 국감-복지위] 복지부 에이즈 혈액관리 부실
입력 2011-09-27 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