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장기기증희망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장기이식이 이뤄진 사례는 제자리걸음에 그치고 있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전현희(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 간 연도별 장기기증 희망자는 ▲ 2006년 39만 5,080명 ▲ 2007년 49만 2,785명 ▲ 2008년 58만 4,119명 등 매년 10만명에 가깝게 증가하다가 故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 이후 ▲ 2009년 78만 7,030명 ▲ 2010년 92만 5,176명으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희망자는 늘었으나 실제 장기이식으로 이어지는 것은 여전히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5년 간 연도별 실제 장기 이식 현황은 ▲2006년 2,346건 ▲2007년 2,368건 ▲2008년 2,857건에서 2009년 3,187건으로 늘었으나 2010년에는 3,137건에 불과하다. 이 수치는 고형장기(신장, 간장. 췌장, 심장, 폐, 췌도, 소장 등)뿐만 아니라 골수, 각막 증 조직 이식도 포함된 수치다. 반면 장기 이식대기자는 ▲2006년 1만3,741명 ▲2007년 1만5897명 ▲2008년 1만7,412명 ▲2009년 1만7,055명 ▲2010년 1만8,189명 등으로 연간 1,000여명 이상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 의원은 “우리나라는 스페인과 같은 장기기증 선진국에 비해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많은 국민들의 동참과 정부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18대 국회 마지막 국감-복지위] 장기기증 희망자 많지만 실제 이식은?
입력 2011-09-26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