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재구매 의사 10.3%”

입력 2011-09-26 09:59
[쿠키 건강] 최근 원인미상 폐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된 가습기 살균제에 대해 열명 중 한명은 가습기 살균제를 재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답해 소비자의 구매 자제 당부 이외에 전량 회수와 같은 정부의 적극적 조치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전현희 의원실에서 최근 데일리 리서치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결과(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에 따르면 가습기 살균제 사용여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 23.7%가 ‘사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앞으로 가습기 살균제를 구매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있다’는 질문이 10.3%에 달해 최근의 뉴스 보도에도 재구매하겠다는 응답이 존재했다.

“정확하지 않더라도 가습기 살균제 강제회수 해야 46%”

또한, 최근 보도된 가습기 살균제 뉴스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알고 있다’는 응답이 89.9%로 나타났고,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과 관련해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더라도, 정부가 살균제를 강제 회수해야 한다’는 의견이(46.0%) ‘살균제 사용자제 권고를 하고 있는 정부의 입장을 찬성한다’는 의견(35.1%)보다 높았다.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는 단서가 있었음에도 절반에 해당하는 국민이 가습기 살균제를 강제회수해야 한다고 밝힌 것은 ‘최종결과가 안나와 강제회수를 할 수 없다’는 보건당국의 입장이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 매우 의미가 있는 결과라는 것이 여론조사 전문가의 의견이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 재구매 의사와 관련해 이전에 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16.0%)가 구매 경험이 없는 응답자(8.9%)에 비해 재구매 의사가 높았다. 그리고 가습기 살균제 뉴스를 잘 모르는 계층의 18.6%가 재구매 의사를 밝혀 뉴스를 잘 접하지 못하는 정보 취약 계층에서 이로 인한 피해 우려가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 소식 인지층이 90%대로 높았음에도 이들 중 재구매 의사를 밝힌 응답이 8.4%로 나타나 가습기 살균제 피해 소식을 듣고도 그 심각성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품유통 상황에서 추가적 피해 발생 우려”

문제는 가습기 살균제가 정부의 자발적인 사용 및 생산 자제 권고에도 아직도 마트와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품에 대한 구매 의사가 존재하고 있어 추가적인 폐손상 피해의 가능성이 잔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현희 의원은 “임산부와 영유아의 사망원인으로 지목된 제품을 10%정도의 사람이 구매의사를 밝힌 것은 피해의 심각성 및 추가피해자 발생 가능성을 감안했을 때 결코 낮은 수치로 볼 수 없다”면서 “정부의 자발적인 자제조치보다는 강제회수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이번 여론조사의 의미를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