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하균 “장애등급 판정받는 장애인 5명 중 1명은 안내 부실로 불편”
[쿠키 건강] 장애등급 판정받는 장애인 5명 중 1명은 안내 부실로 인해 추가 자료를 떼러 병원에 가야한다는 지적이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정하균(미래희망연대) 의원은 국민연금공단(이하 연금공단)에 대한 국정감사 보도자료를 통해 장애등록을 위한 장애심사 과정상, 신청자인 장애인이 심사서류 등의 자료를 보완해서 다시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올해 기준 약 22%나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현재 장애인들이 장애등록을 신청하려면, 진료기록지, 검사결과서 등 심사 관련 여러 구비 서류들을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신청을 접수하는 읍면동 등 지자체에서 심사서류 등을 제대로 안내하지 않거나 확인하지 않고 연금공단 지사로 이관시킴에 따라, 연금공단에서 심사 과정상 누락이 발견돼 장애인 신청자에게 다시 심사서류를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정 의원은 “비장애인도 한번 제출한 서류를 다시 제출한다면 힘이 드는데,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에게 서류 보완을 위해 병원에 가서 다시 검진을 받거나, 검진 기록을 다시 준비하러 다니라는 것은, 시간적으로나 물질적으로 매우 힘든 일이다. 연금공단이 처음부터 장애등급 심사 서류 안내가 잘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의 업무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지자체 공무원들을 상대로 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장애인들에 대한 홍보도 더 강화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비장애인도 귀찮은 일을 장애인에게?”
입력 2011-09-19 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