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의원, 노인·치매·지적장애인 실종 실태 분석 결과
[쿠키 건강] 노인·치매환자·지적장애인 실종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찾지 못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관심과 정책대안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16일 한나라당 유정복의원이 경찰청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2008년부터 2011년7월까지의 노인·치매환자·지적 장애인 실종 현황’을 분석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
유 의원에 따르면 지적 장애인 실종은 2008년 4,864명에서 2009년 5,564명, 2010년 6,699명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치매환자 실종은 2008년 4,246명에서 2009년5,659명, 2010년 6,566명으로, 노인 실종은 2008년 2,720명에서 2009년 2,360명, 2010년 2,845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3년간 사회취약계층 실종 5만1619명 중 지적 장애인 실종이 전체의 41.1%(2만1232명)로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했고, 치매환자 실종은 40.2%(20,728명), 노인 실종이 18.7%(9,659명)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종된 지적 장애인 중 미발견자는 2008년 11명에서 2009년 30명, 2010명 54명으로 증가했고, 2011년 7월 현재만 하더라도 2008년 미발견자 수의 11배인 121명은 아직도 찾지 못했다. 다수의 지적 장애인 실종자가 발생하고 미발견자 숫자도 증가하고 있는 것은 지적 장애인 실종에 대한 발견 및 관리체계가 미흡하다는 방증이다. 또 치매환자 실종자 중 미발견자의 수는 2009년 21명, 2010년 39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11년 7월 현재 치매환자 실종자는 4,257명이며 미발견자 수는 무려 47명까지 늘어난 상태다.
유 의원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보호받아야 할 사회취약계층인 노인·치매환자·지적장애인들이 사라져도 찾지도 못하는 현실을 반드시 타파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지적 장애인과 치매 노인들은 신원확인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팔찌와 인식표를 무료로 보급하는 등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치매로 집 못찾는 노인 매년 증가
입력 2011-09-16 0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