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병원과 의사 중심의 권위적인 기존 치료관행에서 벗어나 환자들은 치료과정에서 의사들과 충분한 대화를 통해 최상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협력 관계를 가장 선호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관절센터 공현식 교수(사진)는 2008년 5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손목 터널 증후군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수술 결정에 참여하는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조사결과 약 76%의 환자들이 의사와 치료 결정을 함께 하기를 원했으며, 증상이 가벼운 환자일수록 이에 대한 선호경향이 더 뚜렷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다른 연구결과에 따르면 암과 같이 생명과 직결되는 중증 질환의 경우 환자 대부분은 의사가 내리는 최선의 판단하에 치료 결정을 전적으로 따르기를 원하는 경향이 컸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생명보다 삶의 질과 관계 깊은 ‘근골격계 질환’ 환자에 대한 결과로, 이들 대부분이 진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의사와 치료 결정을 함께 나누고 싶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전 수술 경험이 있거나(4배) 확실한 간병인이 있는 환자의 경우(4.2배)에는 치료 결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성향이 다른 환자들보다 높았다.
환자 중심 진료(Patient Centered Care)란 환자의 기호, 가치, 사회경제적 환경 및 생활습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환자와 가족들을 치료 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선진 의료 형태의 중요한 구성 요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진정한 환자 중심 진료를 위해 의사들은 치료 결정에 대한 환자의 참여 의사를 더욱 존중하고, 환자 또한 자신의 의견을 의사에게 편안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 공현식 교수는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들은 대부분이 의사와 치료 결정을 함께 하고, 의사로부터 의학적인 정보를 받기를 원할 뿐 아니라 자신의 상황을 의사에게 정확하게 전달해 가장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기를 원한다”면서 “치료 과정에서 의료진들은 환자의 의사를 존중하고 환자는 자신의 의견을 의사에게 편안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정형외과 분야 학술지인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2011년 8월호에 게재됐으며, 미국 정형외과의사회(AAOS,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공식 홈페이지에 주목할 연구로 소개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환자와 의료진, 대화통한 협력관계 최상의 치료법
입력 2011-09-16 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