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병원 3년 치료성과 발표, 조기폐암·전립선암·뇌질환 치료 성적도 좋아
[쿠키 건강] 사이버나이프가 방사선 치료 후 추가 치료를 필요로 하는 암 환자와 기존 방사선치료에 반응하지 않던 암에도 효과가 좋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특히 사이버나이프가 수술이 어렵거나 중증을 동반한 전이암에도 효과적이고, 조기폐암과 전립선암 치료 성적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순천향대학교병원 사이버나이프센터는 최근 개최된 센터 개소 3주년 ‘해외석학 초청 기념심포지엄’에서 이같은 내용의 사이버나이프센터 치료성적을 발표했다.
순천향대병원 사이버나이프센터 장아람 교수(방사선종양학과)는 사이버나이프 치료 후 3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182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전체 1년 생존율이 84.6%, 중간생존율이 21개월에 달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이번 분석 대상 환자 대부분이 중증 전신질환을 앓고 있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고령의 환자, 재발성 또는 전이성 환자들이었다.
장아람 교수는 “방사선치료 후 추가적으로 사이버나이프 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45명, 임파선 전이 74명, 원격전이 89명 등으로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지만, 치료에 실패해 예후가 좋지 않은 환자가 많이 포함됐음에도 이같은 성적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질환별로는 폐암의 1년 생존율이 100%였고, 1년 국소 제어율도 92.3%로 좋은 치료효과를 나타냈다. 원발성 혹은 재발한 폐암은 2년 생존율이 72.5%였으며, 2년 국소 제어율은 93.3%였다. 전이성 폐암의 경우 85.3%의 2년 국소제어율과 100%의 2년 생존율을 기록했다.
특히 순천향대병원 측은 사이버나이프치료 가장 좋은 적응증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립선암은 국소제어율, 생존율 모두 100%로 치료 받은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13명의 환자 모두 현재까지 부작용 및 재발없이 생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간암은 재발암과 간문맥혈전을 동반했던 환자군을 포함한 치료 결과로 1년 생존율은 71.9%, 국소제어율은 100%에 달했다. 골반 및 복부대동맥 임파절 전이암도 1년 생존율 80%, 국소제어율은 100%를 보여 좋은 효과를 보였다.
또한 장 교수는 “예후가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진 췌담도암은 재발암을 포함하여 86%의 1년 국소제어율과 72.7%의 1년 생존율을 기록했다”며 “최근 보험급여 대상이 된 척추전이암은 45%가 MRI 나 CT 상 암이 완전히 사라졌으며 영상분석결과 최종 국소제어율은 85%였다”고 설명했다.
이번 분석에 포함된 환자중 14명(53.8%)의 경우 방사선치료후 재치료로 사이버나이프치료를 받은 경우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환자에서 통증이 감소해 일상생활 수준과 운동기능의 개선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장아람 교수는 “전립선암이나 조기폐암의 사이버나이프 치료는 이미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 외과적인 수술과 대등한 성적으로 치료효과를 인정받고 있고, 특히 폐암은 금년부터 건강보험 혜택을 받기 때문에 고령화 사회에 적합한 치료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뇌종양 및 뇌혈관질환의 사이버나이프 치료 성적도 발표됐다. 박석규 신경외과 교수는 “230명에게 251례의 치료를 시행중이며, 이중 뇌종양이 207례(양성 뇌종양 108례, 전이성 뇌종양 77례, 원발성 뇌종양 22례), 혈관성 질환 35례, 삼차신경통 4례, 척추종양 6례로 모두 별다른 부작용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양성 뇌종양 환자는 0.02%의 재발율을 보여 우수한 치료효과를 보였고, 혈관성 질환 역시 뇌동정맥기형 33례 모두에서 치료 후 재출혈의 합병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순천향대병원은 지난 2008년 7월부터 제4세대 사이버나이프를 운용중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순천향대병원, 사이버나이프 전이암 환자 치료 효과적
입력 2011-08-24 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