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단체연합 우석균 실장, 지역 공공진료센터 설립 주장
“계속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 일반약 슈퍼 판매가 근본적으로 휴일진료 공백을 메울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공공의료센터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건의료단체연합 우석균 정책실장은 18일 국회도서관 소강당에서 열릴 ‘공공진료센터(가칭) 설립을 위한 토론회’ 발제문을 통해 일반약 약국외 판매 논란을 잠재우고 휴일 의료공백을 메울 수 있는 방안으로 공공의료센터 설립을 제안했다.
우 실장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일반의약품의 편의점 판매는 국민들의 야간 및 휴일진료공백문제라는 근본적 원인 탓에 국민들의 일부 지지를 얻고 있는 듯이 보인다”면서 “그러나 편의점에서 약을 구입할 수 있다해도 실제 원인이 되는 야간 및 휴일진료공백 상황의 근본적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대안으로 “정부가 공공 야간휴일진료클리닉을 개설해 진료공백을 해결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우석균 실장의 제안에 따르면, 최소한 인구 5만∼10만명당 의사 2인 이상이 근무하는 1개의 클리닉이 필요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기존 보건소에 의사 및 약사 인력을 모아 휴일 및 야간 클리닉을 운영하는 방법도 제시됐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건강보험과의 계약시 이를 의무조항으로 해 지역주민에 대한 공중보건 봉사 의무를 포함시키고 이런 공중보건 봉사업무에 대해서는 야간휴일진료를 포함시키되 별도의 보수를 지불해야 한다고 우 실장은 제안했다.
우 실장은 “지역 의약사들에게 소요되는 경비는 건강보험재정에서 상당부분 해결될 것이며 지방자치단체의 기존의 공간을 이용하고 초기장비지원 정도면 충분하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일반약 슈퍼판매 판매, 휴일진료 공백 못 메운다
입력 2011-08-18 1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