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뜨거운 태양이 내려쬐는 7월과 8월의 여름 휴가철에 외여임과 동물과의 접촉에 따른 중독, 농가진 등이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휴가가 집중되는 8월을 대비해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4년간의 외이염, 독액성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중독, 농가진에 대한 심사결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5일 밝혔다.
각 질환들은 가장 더운 기간인 7월에서 9월까지 환자 발생이 집중됐으며, 특히 8월에 질환별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외이염의 4년간 평균 진료인원은 8월에 26만명으로 월평균 진료인원 16만명보다 약 10만명 이상 많았다. 독액성 동물과의 접촉에 따른 중독의 경우에도 8월 진료인원이 1만7159명으로 월평균 진료인원 5800명보다 무려 3배나 높았다. 농가진의 8월 진료인원은 5만9564명으로 월평균 2만7238명의 2배 였다.
각 질환의 연령별, 성별 발생분포를 분석한 결과 외이염은 전 연령에서 고르게 나타났지만 여성에게 많이 발생했다. 독액성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중독은 30~50대 중년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했고, 농가진은 0~9세의 소아와 영유아가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에 대해 황재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심사위원은 “외이염은 바깥귀의 세균성 감염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으로 대부분 잦은 수영, 아열대성 습한 기후, 잦은 이어폰 사용 등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또 피부에 발생하는 얕은 화농성 감염인 농가진은 주로 여름철에 소아나 영유아의 피부에 잘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황재택 심사위원은 외이염 예방을 위해 평소 외이도를 과도하게 후비거나, 면봉이나 귀이개로 파지 않도록 하고 수영할 때는 가급적 귀마개를 사용하여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독액성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중독 예방을 위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깊은 바다 속이나 풀숲에 들어갈 때는 신체 노출을 최소화 한다. 농가진의 경우 항상 피부를 청결히 유지해 균에 감염되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황재택 심사위원은 농가진이 발생한 경우 전염성이 매우 강하므로 유치원 등에 가지 않도록 교육하고 아이의 옷이나 수건 등을 분리해 소독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휴가철 외이염·농가진 환자 많이 발생, 주의 필요
입력 2011-08-05 1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