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북한산과 남산, 아차산 등 서울시민들이 즐겨찾는 11곳의 산책로와 등산로의 피톤치드 발생량이 유명 삼림욕장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원장 채영주)은 올 3월부터 6월까지 서울 11개 지역을 선정해 피톤치드 농도를 조사한 결과, 피톤치드 성분인 피넨, 캄펜, 시멘, 리모넨 등이 대상지역에 최대 890pptv, 전체 평균 327pptv가 검출(6월 기준) 됐다고 5일 밝혔다.
피톤치드는 삼림욕 효과의 대표적인 물질로, 주로 침엽수에서 해충이나 각종 균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배출하는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삼림욕을 통해 피톤치드를 마시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돼 살균작용이 이뤄지는 등 사람에게 유익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이번 서울지역 조사 결과는 지난 2008년 경남과 전남의 지리산, 덕유산, 금원산 등 유명 삼림욕장의 피톤치드 조사범위인 172~964 pptv(최고 검출지역인 덕유산과 최저 검출지역인 팔영산 제외)의 범위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조사한 지역은 도봉산, 관악산, 남산, 인왕산, 아차산, 대모산, 신정산, 서울대공원 삼림욕장(‘라’구간), 북한산 둘레길, 서울숲, 양재시민의 숲 등 11곳이다.
보건환연구원은 산책로, 등산로, 체육공원 등 평균 2~3곳의 조사지점을 정해 3월부터 매달 피톤치드 발생량을 조사했다. 그 결과 기온상승에 따라 식물생장이 활발해지는 3월 이후 피톤치드 농도가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6월 북한산둘레길 소나무숲길 구간에서 890pptv의 피톤치드가 발생해 이번 조사 지역 11곳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남산 소나무숲 탐방로에서 768pptv, 아차산 고구려정에서 640pptv, 신정산에서 568pptv의 높은 피톤치드가 검출됐다.
또한 이번 조사 지역을 대형산, 중소규모산, 생활권 녹지로 구분해 피톤치드 농도를 따져본 결과, 생활권 가까이에 있어 시민들의 접근성이 좋은 중소규모산과 녹지에서 피톤치드 농도가 높았다. 지역별 6월 기준 평균농도는 대형산에서 226pptv, 중소규모산에서 368pptv, 생활권 녹지에서 306pptv 였다.
서울시는 올해 말까지 이번 조사를 마무리하고, 대상 지역에 피톤치드 알림판 설치, 서울시 관련 홈페이지에 홍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결과를 시민들에게 알린다는 방침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용어]pptv=1조 분율, 공기 중에서 물질의 부피가 1조분의 1을 차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남산 등 서울 등산로 피톤치드 발생량 유명 삼림욕 수준
입력 2011-08-05 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