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일반 보청기 착용이 어려운 난청 환자들에서도 착용이 가능한 중이이식형 보청기 이식수술이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인공와우센터 장선오 교수팀(이비인후과)은 지난달 26일 양측 중증도의 난청환자 김모(51)씨에게 중이이식형보청기 이식수술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환자는 수술 3일 후인 지난달 29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환자는 10년 동안 지속된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일반 보청기를 사용해 왔으나 보청기를 착용하고도 주변 사람들이 말하는 내용을 잘 들을 수 없을 정도로 일상 생활에 어려움이 있었다.
병원 측은 지난해 국내 최초로 인공와우이식술 1000례를 달성하는 등 그동안의 축적된 경험과 술기를 바탕으로 이식형보청기 이식수술을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중고도의 감각신경성 난청에서 보청기가 거의 유일한 청각재활 방법이나 사람에 따라 자신의 목소리가 울려서 들리거나, 변형된 소리, 동굴에서 말하는 듯한 느낌, 막힌 느낌과 같은 불편감 때문에 보청기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귀지 등으로 보청기를 자주 수리해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중이이식형보청기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해주고 좀 더 질 좋은 소리를 들려줌으로써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수술이 이뤄져왔다. 중이이식형보청기는 귀 뒤에 걸거나 외이도에 꽂는 일반 보청기와는 달리 측두부에 동전 크기의 언어처리기만이 머리카락으로 가려지는 부위에 노출돼 있어 거의 보이지 않는 미용상의 장점도 있다.
장선오 교수는 “중이이식형보청기는 일반 보청기와 달리 외이도와 고막을 막지 않고 고막 안쪽의 이소골을 직접 진동시켜 귀로 전달된 소리를 증폭하므로 훨씬 자연스러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며 “여러 가지 이유로 보청기를 사용하기 힘들었던 난청인에게 중이이식형보청기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 향후 감각신경성 난청뿐만 아니라 만성 중이염 등으로 인한 전음성 난청, 혼합성 난청인 경우에도 중이이식형보청기 이식수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장 교수는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국내 최초 중이이식형보청기 수술 성공
입력 2011-08-03 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