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말 구축 완료, 진료수준 획기적 향상 기대
[쿠키 건강] 분당서울대병원(원장 정진엽)이 지난 25일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모바일 진료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오는 8월말 시범서비스에 나선다고 밝혀 주목을 끌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망''에 접속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로 언제 어디서나 가상의 PC에 접속해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이와 관련 분당서울대병원은 한국EMC와 공동으로 8월말까지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진료정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전 의료진에게 아이패드를 지급해 환자 진료에 본격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진료정보 시스템은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어떤 단말기에서라도 일반 PC와 똑같은 환경으로 진료정보 시스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다.
그동안 태블릿 PC, 스마트폰으로는 별도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한된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환자의 모든 의무기록과 영상을 조회하거나 입력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갖고 있는 의료진은 기종이나 형태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병원 진료정보 시스템에 접속해 환자 정보 조회, 저장, 수정 등 기존 고성능 PC로 하던 모든 진료 행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측은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진료정보 시스템은 일반 PC에서 이용하는 전자의무기록(EMR)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의 모든 기능을 특별한 장비 없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간단한 단말기만으로도 가능하게 해 준다”며 “일반 PC보다 1.5배 빨라진 속도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진정한 유비쿼터스 진료 환경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진엽 원장은 “그동안 개발된 진료 정보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속도, 정보 제공 범위 등 모든 면에서 한계가 있었다”며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진료 정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이 모든 것을 극복한 전혀 새로운 환경의 차세대 진료 서비스를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2010년 10월 미국을 제외한 세계에서 처음으로 의료정보화 세계 최고 수준인 HIMSS Analytics 7단계 인증을 받아, 국내 의료정보화 수준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기여한 바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분당서울대병원,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진료정보시스템 구축
입력 2011-07-26 0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