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장마철이 끝나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보건당국이 음식물 관리에 주의를 당부했다.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현재 전국이 평균기온 23~30℃, 평균습도 60~80%로 우리나라의 모든 지역이 식중독 지수 ‘경고 단계(50~85)’에 해당된다. 경고 단계에서 식중독균은 3~4시간 내에 100배, 6~7시간 내 1만 배로 왕성히 증식하기 때문에 음식물 취급을 소홀히 하면 4~6시간 내에 부패할 수 있다.
식중독 지수란 특정 온도와 습도에서의 식중독 발생 확률을 백분율로 수치화 한 지수로 과거 3년간 식중독 발생 지역의 온도와 습도를 기초로 개발한 예측 모델을 이용해 산출한다.
아울러 식약청은 최근 집중 호우로 하천 등이 범람하면서 흙이나 주변 환경에 존재하던 병원성대장균 등 식중독균이 지하수, 채소류 등으로 옮겨질 우려가 있다며 이에 대한 주의도 당부했다.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침수되었거나 침수가 의심되는 채소·과일류나 음식물은 폐기 ▲음식물은 가급적 한번 식사 분량으로 조리 ▲남은 음식은 바로 냉장보관하고 섭취 전 상태 확인 ▲곡류 등은 곰팡이가 생성되지 않도록 건조한 곳에 보관 ▲지하수 등 음용수는 반드시 끓여 마실 것 ▲침수된 칼, 도마, 행주 등 주방용품들은 끓는 물 또는 가정용 소독제로 살균 ▲곰팡이와 세균이 쉽게 번식할 수 있는 싱크대, 식기 건조대 등은 청소 및 소독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
식약청 관계자는 “식중독은 손씻기 등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해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설사나 구토 증세가 있을 경우 신속하게 병원이나 보건소를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전국 식중독지수 ‘경고단계’… 음식관리 주의
입력 2011-07-20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