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WHO 고령친화도시 인증 추진

입력 2011-07-20 08:52
[쿠키 건강] 서울특별시가 노인 인구 100만명 시대에 맞춰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목표로 세계보건기구(WHO) 회원도시 인증을 추진한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20일 오전 10시부터 서울시청에서 고령친화도시 추진위원회 발족식 및 제1차 보고회를 개최한다.

WHO가 주관하는 고령친화도시란 나이가 들어도 불편하지 않고, 나이에 상관없이 평생을 살고 싶은 도시로, 활기차고 건강한 노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참여를 구현한 도시를 말한다.

고령친화도시의 회원도시 자격 조건은 WHO에서 제시하는 주거, 교통, 안전 등 8대 분야에 대한 정책, 서비스, 사회환경 및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 WHO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 8대 분야는 ▲안전 및 고령친화시설 ▲교통편의환경 ▲주거편의환경 ▲지역사회활동참여 ▲사회적 존중 및 포용 ▲고령자원 활용 및 일자리지원 ▲의사소통 및 정보제공 ▲지역복지 및 보건 등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올해 안에 WHO가 제시한 주거, 교통, 사회참여, 일자리, 지역복지 및 보건 등 8대 분야를 근간으로 ‘서울형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개발, 내년부터 본격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13년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거쳐 2014년 ‘WHO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에 가입 등 인증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오는 2014년 목표인 WHO 회원도시 인증을 받을 경우 인구 1000만명 이상인 전세계 도시 중 7번째, 국내에서는 최초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지난 6월 ‘고령친화도시 기반 조성계획’을 수립해 시의회에 제출했으며, 시의회는 이달 8일자로 ‘서울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 조례’를 의결해 이달중 공포될 예정이다.

조례안에 따르면 서울시가 마련한 고령사회 가이드라인을 구청장 등 공공기관장이 준수해야 하며,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모든 영역에서 고령친화를 이룬 정도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전담할 노인정책센터를 설치·운영토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서울시는 조례안에 따라 시에 적합한 서울형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해 서울시복지재단 내에 노인정책센터를 설치하고, 8명의 외부 공동연구진을 구성해 가이드라인 및 실행계획에 대한 검토와 논의를 진행 중이다.

또한 20일 발족하는 고령친화도시 추진위원회에는 학계, 현장전문가, 경제계, 의료·법조계, 시의원 등 WHO가 제시하는 8대 분야를 포괄할 수 있는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된다. 위원으로는 차흥봉 전 보건복지부장관(한국사회복지협의회장), 강지원 변호사, 나현 서울시의사회장, 조규영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 등이 참여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