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학회 조사 결과, 당뇨병환자 10명에 1명꼴로 여름철 족부질환 경험, 발건강 신경써야
[쿠키 건강] 국내 당뇨병 환자 10명중 1명은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 발에 상처를 입거나 당뇨병성 족부궤양(일명 당뇨발)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젊은 층의 당뇨환자와 여성에서 당뇨발 환자가 많이 발생해 여름철 당뇨병 환자의 발 건강 관리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박성우,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최근 파란양말캠페인 일환으로 전국 당뇨병센터와 내분비내과 병·의원, 보건소 등 520개 기관에서 4284명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여름철 발 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실태 조사 결과 조사 대상 당뇨병 환자의 14%인 601명이 여름철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 발에 상처를 입거나 상처가 악화되는 경험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젊은 연령대인 20대의 여름철 족부질환 발생 위험률은 27%로 타 연령층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대를 제외한 연령층의 여름철 족부질환 발생률은 11%~15% 정도 였다.
이와 관련 당뇨병학회는 젊은 연령층의 당뇨병 환자 중 3분의 1 가량이 평소에 양말을 신지 않거나, 신더라도 당뇨병 환자에게 적합한 양말인지 고려하지 않고 아무렇게나 착용하는 등 평소 발 관리에 소흘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남성보다 여성의 여름철 족부질환 발생률이 2%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조사 결과 남성 환자들의 경우 여름에 운동화를 신는다는 비율이 36.2%였으나, 여성 당뇨병 환자의 경우 슬리퍼 착용이 26.7%, 샌들 착용이 24.8%였다. 이는 여성 당뇨병 환자들이 평소 양말을 잘 신지 않거나 양말을 신더라도 적합한 양말이 아닌 경우가 많고, 신발 역시 발 보호에 적합하지 않다고 당뇨병학회 측은 지적했다.
따라서 당뇨병학회 측은 “당뇨병 환자는 혈관장애로 인해 충분한 혈액순환이 되지 않고, 세균에 대한 저향력이 약해 가벼운 상처로도 족부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며 “심하면 발을 절단까지 하는 등 이른바 당뇨발에 이를 수 있어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여름철 세균감염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뇨환자 여름철에도 실내외에서 양말 착용하는 것 좋아
이번 조사 결과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을 진단받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여름철 족부질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만성 고혈당으로 인해 신경이 손상을 받았거나 신경의 비정상적인 기능 때문에 생기는 만성 통증인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환자들의 여름철 족부질환 경험비율은 24.5%였다. 반면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당뇨병 환자들의 족부질환 경험비율은 9.7%로 낮았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의 여름철 족부질환은 일상생활 공간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조사에 따르면 족부질환을 가장 많이 경험하는 장소로 일상생활이라는 응답률이 32.9%로 가장 많았으며, 집안에서 맨발로 생활하다가 상처가 난 경우 8.2%, 계곡에서 물놀이 중 5.3%, 해변 등에서 맨발로 돌아다니다가 상처가 난 경우 2.5% 순이었다.
당뇨병 환자들의 여름철 족부질환 발생 원인으로는 맨발과 미비한 세족 습관, 무좀 병력 등이 꼽혔다. 특히 실내에서만 양말을 신는 당뇨병 환자들의 족부질환 경험률은 25.5%인 반면, 실내외에서 모두 양말을 신는 환자들의 경험률은 14.2%였다.
김성래 대한당뇨병학회 홍보이사(가톨릭의대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당뇨병 환자들은 여름철 덥더라도 발을 잘 씻고 땀이 잘 흡수되는 양말을 신어 외부 자극과 무좀 등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당뇨병성 신경병증 증상이 있는 경우 주치의와 상의해 적극적으로 치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당뇨환자 덥다고 맨발? 당뇨발 주의
입력 2011-07-18 1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