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여름철에 발이 덥고 답답한 마음에 슬리퍼를 즐겨 신는 분들은 주목해보라. 슬리퍼를 신으면 발도 편하고 긴장도 덜해져 자신도 모르게 편하게 팔자로 걷게 되지는 않는가?
큰 신발이나 큰 슬리퍼를 신는 경향이 있는 사람은 자신도 모르게 허리를 곧게 펴고 걷기보다는 허리를 다소 굽히고 팔자로 걷게 된다. 슬리퍼를 신으면서 자신도 모르게 팔자걸음을 걷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슬리퍼를 신고 걷다보면 벗겨지지 않으려고 발가락을 들면서 슬리퍼를 신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해 발가락에 힘을 무리하게 줄 경우에는 발목 신경근 부위가 뭉쳐 발목과 발등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또 일자걸음을 걸으면 슬리퍼가 벗겨질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팔자걸음이 나오게 된다. 여름철 발건강에 대해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 동부지부를 통해 알아보자.
◇슬리퍼! 잘 알고 건강하게 신자
슬리퍼가 너무 크거나 작아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보행 시 힘의 분산 여부에 따라 척추배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슬리퍼를 신는지에 따라 족부 등 발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슬리퍼는 기능상 ‘통풍의 극대화’가 강조돼 있지만 역으로 말하자면 접지력, 마찰력, 충격흡수, 발목에 대한 보호 등의 신발 기능은 최소화 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퍼를 신고 농구 등 운동을 하는 것을 절대 피해야한다.
그렇게 때문에 장마철에는 슬리퍼 착용에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미끄럼 방지가 약한 슬리퍼를 신고 가다 빗길에 쉽게 넘어질 수 있는데, 노인들은 반사 신경과 평형감각이 떨어져 낙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릎이 아픈 경우 무릎을 구부리고 걷는 경향이 있는데, 슬리퍼의 쿠션이 없어 발뒤꿈치의 체중을 충분히 감압하지 못할 경우 무리가 가해지면서 그 충격으로 인해 족저 근막염이 생길 수 있고 발목과 발등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골다공증이나 퇴행성관절염이 있을 경우에는 장마철 빗길에 넘어져 뼈가 부러지거나 관절염이 더욱 악화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슬리퍼를 신다보면 모래나 작은 돌조각이 발에 상처를 나기도 쉬운데, 당뇨발, 말초 신경염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부류의 경우에는 발의 감각이 둔해 상처가 쉽게 나고 악화될 수 있어 발의 충격을 완충해줄 수 있는 슬리퍼가 아닌 이상은 신지 않는 것이 좋다.
당뇨발이 있는 경우 지하철 등 군중이 집합된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지하철에서 누군가의 하이힐에 찍혀 치명적인 상처를 입을 경우 상처가 잘 아물지 않고,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주의해야 한다.
또 하이힐을 신고 장기간 서 있거나 하이힐을 신던 사람이 갑자기 낮은 슬리퍼를 신을 경우에는 아킬레스건 힘줄이 있는 뒤꿈치 뼈 부착부위나 윗부분에 염증이 잘 발생한다. 부착부 윗부분은 소염제, 충분한 휴식, 물리치료로 대부분 간단히 치유되지만, 뒤꿈치 뼈에 염증이 생길 경우에는 염증치료가 쉽지 않고 이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만성화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여름철 예쁘고 편한 신발 신기도 좋지만 발 건강도 생각해보자.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슬리퍼 때문에 망치는 발 건강
입력 2011-07-12 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