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47만 여명(68.5%), 남성 21만 5천 여명(31.5%)
[쿠키 건강] 우울장애와 양극성 장애(조울증)를 포함하는 감정과 정서에 대한 장애를 겪고 있는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이용해 ‘기분[정동] 장애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진료를 받은 환자수는 2006년 60만 9607명에서 2010년 68만 4793명으로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3%가 증가했다.
기분[정동] 장애로 진료를 받은 여성은 전체 진료환자의 68.5%, 남성은 31.5%이며, 최근 5년 동안 남성은 2006년 19만 9544명에서 2010년 21만 5340로 연평균 1.9%가 증가했고, 여성은 2006년 41만 63명에서 2010년 46만 9453명으로 연평균 3.4%가 증가했다.
최근 5년 동안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이 여성은 연평균 2.7%, 남성은 연평균 1.2% 증가했으며, 전체적으로 연평균 2.2%가 증가했다.
최근 5년 동안 기분[정동] 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의 진료비는 연평균 8.9%, 급여비는 8.8%로 증가하였으며, 총 진료비와 급여비 모두 2006년 대비 2010년은 약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60~79세(3462명), 80세 이상(3,456명), 40~59세(1641명), 20~39세(1006명), 0~19세(283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상병별로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 추이를 살펴보면, ‘우울증’은 2006년에서 959명에서 2010년 1081명으로 122명이 증가하였으며, ‘조울증’은 2006년에 86명에서 2010년에 108명으로 22명이 증가하였다.
반면, 기타 기분[정동] 장애는 2006년 235명에서 2010년 206명으로 29명이 감소했다.
2010년을 기준으로 성별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전체 기분[정동] 장애 중 ‘우울증’이 74%, ‘조울증’이 10%를 차지했으며, 여성은 전체 기분[정동] 장애 중 ‘우울증’이 79%, ‘조울증’이 7%를 차지했다.
최근 5년 동안의 인구 10만명당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조울증’은 여성이 6.6%, 남성이 4.9%, ‘우울증’은 여성이 3.5%, 남성이 2.1% 증가하였다. 반면, ‘조증’은 남성이 4.4%, 여성이 4.0%, ‘기타 기분[정동] 장애’는 남성이 4.4%, 여성이 2.6%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분[정동] 장애 진료비의 최근 5년 동안(2006~2010년)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조울증’의 진료비는 12.8% ‘우울증’은 9.0%, ‘조증’은 1.8% 증가했다.
가입자 유형별로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 추이를 살펴보면, 최근 5년 동안 지역가입자는 4.2%, 직장가입자 1.5% 증가했다.
2010년을 기준으로 지역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를 살펴보면, 대전이 1923명으로 가장 많았고, 울산은 863명으로 가장 적었다.
최근 5년 동안(2006~2010년)의 연평균 증가율은 전남이 7.9%로 압도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대전은 0.8%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을 기준으로 요양기관 종별로 진료환자 분포를 살펴보면, 의원이 64%, 종합병원이 26%(상급종합병원 포함), 병원이 10%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과 이선구교수는 기분[정동] 장애의 원인 및 증상에 대해 “기분장애는 어느 하나의 원인이 아니라 생물학적 원인, 유전적 원인, 성격적 요인, 정신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며 “나라와 문화에 상관없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우울증은 두배 이상 흔하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어, “약물치료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미주신경자극술, 광치료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술이나 안구운동민감소실 및 재처리요법(Eye Movement Desensitization & Reprocessing)도 새로운 치료법으로 소개되고 있다”고 치료법을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포뉴스 신형주 기자 zero@medifonews.com
기분장애 진료여성, 남성보다 ‘2배’
입력 2011-07-11 0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