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국립암센터(원장 이진수)는 30일 자체 개발한 항암면역세포치료제 임상시험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30일 오후 비인두암 전신재발 환자 김모씨(62·여) 대상의 항암면역세포치료로 실시된다.
국립암센터 측은 “이번 임상시험은 EB 바이러스 관련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유래 세포 독성 T 면역세포 치료제인 엡비엔티셀의 안전성을 관찰하는 제 1상 임상시험으로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EB 바이러스라고 불리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는 피곤할 때 입술에 물집이 생기게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이 바이러스는 아동기에 감염되며 대부분 증상을 일으키지 않지만 정상 세포를 악성 세포로 변화시켜 버킷 림프종, 비인두암, 호지킨 림프종, 림프세포증식 질환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위암, 유방암, 폐암 등의 발생과도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엡비앤티셀(EBVi NT Cell)은 EB 바이러스의 EBVi와 국립암센터(NCC)에서 개발한 T 세포를 뜻하는 약어인 NT Cell을 따서 이름이 붙여졌다. 엡비앤티셀은 환자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항원을 인식할 수 있는 활성 T 면역세포만을 분리한 후, 이를 대량 증폭시켜 만들어졌기 때문에 EB바이러스 항원을 가진 종양 세포를 선택적으로 인식하고 죽일 수 있는 치료제이다.
국립암센터 측은 “일반적인 항암제 치료제 보다 부작용은 적고 효능은 높은 새로운 항암 치료법이 될 것”이라며 “특히 4-1BB라는 면역 조절 단백질을 이용함으로써 체외에서 배양 증폭하고 시간을 단축한 것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치료제 개발을 이끌어온 권병세 박사는 지난 2005년 생물학분야 국가석학 3명중 1인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국내외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에서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권병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엡비엔티셀 외에도 위암 치료를 위한 hTERT T 세포치료제와 뇌종양 치료를 위한 WT1 T세포 치료제의 식약청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준비하고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국립암센터 자체개발 ‘항암면역세포치료제’ 환자 임상 돌입
입력 2011-06-30 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