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서울아산병원이 전세계 복강경 췌장수술 중 35%를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외과 김송철 교수팀은 2005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359명을 대상으로 복강경을 이용해 ‘원위부(몸통 및 꼬리) 췌장 수술’을 시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2010년까지 전세계에서 복강경 췌장수술이 총 1000여건 시행됐다는 점에 비춰볼 때 서울아산병원이 35% 이상을 담당했다는 것으로 단일 병원 세계 최다라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췌장은 복강경 수술이 어려워 개복 수술이 많이 행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배 안쪽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고, 장기 크기가 커서 수술 상처도 크고 환자들의 통증 및 수술 후 합병증 관리가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복강경 췌장 수술 후 환자들의 통증 및 입원일수가 모두 감소했으며 최소 절개로 수술부위의 상처에 문제 발생이 거의 없었고, 수술 중 출혈과 합병증 발생률이 낮아 회복이 빨라 환자들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연구팀에 따르면 복강경 수술 환자의 59%가 비장을 보존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비장 보존률 또한 개복수술보다 높았다. 췌장 바로 옆에 있는 비장은 혈액 내 세균을 죽이고 면역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수술 시 최대한 비장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한데 개복수술에서는 거의 대부분 비장절제가 이루어졌었다.
이렇게 복강경 췌장 수술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췌장이 큰 혈관과 중요한 구조물로 둘러싸인 후복막에 위치해 있고 ▲수술 중 작은 실수에도 췌장액의 누출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 가능성 ▲수술 과정이 까다로워 오랜 숙련으로 이루어진 고난도의 손기술이 요구되는 등의 이유로 실시하기가 쉽지 않았다.
김송철 교수는 “췌장의 양성 종양과 일부 췌장암에서만 복강경이 이용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진행성 췌장암 및 췌장 주변 암 등 다양한 췌장 질환에서 복강경 췌장 수술이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4월 미국소화기내시경외과학회에서 발표됐으며, 국제적으로 권위있는 외과학분야 학술지 ‘Surgical Endoscopy’ 최신호에 게재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서울아산병원 “전세계 복강경 췌장수술 중 35% 시술”
입력 2011-06-14 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