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비아그라 한해 수백억 밀수… 부작용 우려

입력 2011-06-09 06:41

윤석용 의원, 비아그라 밀수현황 분석결과…효과·안전성 검증안돼 소비자 피해만 가중

[쿠키 건강] 가짜 비아그라 등 불법 발기부전 치료제가 한 해 수백억 원 어치씩 밀수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불법 발기부전 치료제는 효과나 안전성이 검증된 바 없고 부작용도 허가 제품에 비해 훨씬 심각한 수준이어서 소비자 피해만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 윤석용(한나라당·보건복지위)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비아그라 밀수적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한해 수십억에서 수백억 원의 발기부전 치료제가 밀수입되려다 정부당국에 적발됐다.

밀수되는 발기부전 치료제는 대부분 선원승무원, 여행자가 몰래 은닉해 들여왔으며, 발기부전 치료제를 정상화물인 것처럼 거짓으로 꾸며 들여온 경우도 많았다.

특히 2009년과 2010년에는 총 600여건의 발기부전 치료제 밀수가 이뤄졌으며, 이는 300억 원이 훨씬 넘는 규모로 정상적인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약 800억 원)에 혼란을 초래하기도 했다.

현재 국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 규모는 800억 원이 약간 넘는 수치로 ▲비아그라 40% ▲시알리스 30% ▲자이데나 20% ▲엠빅스·레비트라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밀수 제품 대부분은 가짜다. 복용할 경우 인체에 큰 문제가 될 수 있을 정도로 부작용이 크다”며 “수백억 원 대의 밀수는 당연 관련 시장의 매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뿐만이 아니다. 발기부전 치료제 외에도 밀수입되는 의약품은 06년 4억원(133건), 07년 15억원(136건), 08년 9억원(156건), 09년 36억원(127건), 10년 3억원(89건) 등으로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에 달한다. 일반의약품의 밀수 이유는 수입 시 약사법 등에 의한 수입요건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윤석용 의원은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의 경우 잘못 복용하면 심장마비 등 각종 이상 질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철저한 통관 절차와 관리 감독이 이뤄져야 한다”며 “의약품 밀수단속은 관세청만의 문제가 아니라 식약청과 지자체·검찰·경찰 등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체제를 통해 근절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