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바이오의약 성공모델 창출, IT융합병원 수출산업화 추진
[쿠키 건강] 정부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고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한 3대 핵심사업 중 하나로 바이오헬스융합 분야를 선정하고 적극 육성에 나선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일 청와대에서 열린 ‘바이오헬스융합의 글로벌 산업화 전략’ 주제의 제88차 국민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은 방침을 확인했다.
이날 회의에는 특히 기획재정부를 비롯해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장관과 국가과학기술위원장, 식품의약품안전청장 등 관계부처와 공공기관, 학계와 업계 민간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콘텐츠, 바이오헬스, 시스템 반도체 등 3대 핵심사업 중 바이오헬스에 관한 추진전략이 제시됐다. 특히 정부는 바이오헬스 부문의 경우 부처간 정책협조와 융합이 필요한 분야라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위원장 곽승준)는 현 정부의 잔여 임기내에 신성장동력 육성정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조기에 가시적 성과 창출이 가능한 분야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위원장 곽승준)는 지난해 4월부터 민간전문가 중심으로 관련 TF를 구성해 운영중이며, ‘맞춤형 바이오의약 성공모델 창출’과 ‘IT융합병원 수출산업화’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한 바 있다.
◇바이오의약 성공모델과 IT융합병원 적극 육성
두 가지 핵심 전략중 ‘맞춤형 바이오 의약의 성공모델 창출’과 관련 정부는 줄기세포 등 연구 활성활흘 위한 제도개선과 기반 구축에 적극 나선다.
이를 위해 연구자 임상제도를 활성화시켜 상업화 연계가 용이하도록 지원하고, 줄기세포 등 세포치료제의 특성을 반영한 허가·심사기준도 대폭 개선된다. 특히 연구자 임상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경우 자가줄기세포치료제의 상업화 임상절차를 간소화하고, 품질 및 독성자료 등 허가·신청자료도 합리화하기로 했다.
또한 희귀·난치병 치료 촉진을 위해 희귀의약품 지정대상을 확대하고, 조기 지정을 통해 허가절차도 신속히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식약청은 심사전문인력 확충, 사전검토 제도화, 약무기술전문가 육성 등에 기반해 심사역량 강화, 심사기간 단축 등을 추진한다.
국내 제약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도 제시됐다. 이와 관련 정부는 바이오벤처기업의 신약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도 개선키로 했다.
이와 함께 신약개발 목적의 초기임상시험 연구개발(R&D) 지원을 늘리고, 기술성과 시장성 평가를 거쳐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벤처기업의 경우 상장유지요건 특례(상장후 4년차 매출액 30억원 이상, 2011년 3우러 시행)도 필요시 추가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IT융합병원 수출 산업화’와 관련 정부는 한국 의료글로벌화 전략과제로 이를 적극 추진하고, 의료비즈니스를 수출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한국 의료글로벌화 전략과제는 해외환자 유치와 의료해외진출 2가지다.
IT융합병원, 패키지 수출, 해외병원 위탁경영 등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진출을 위해 중동과 중국 등 전략적 타겟국가를 설정하고, 병원운영에 필요한 요소를 모듈화해 IT를 융합한 맞춤형 패키지로 수출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정부는 투자회수기간이 장기적이라는 점을 감안 병원 해외진출 투자펀드를 통해 리스크를 분담시키고, 수출입은행 등 공적금융기관의 맞춤형지원도 확대한다. 이와 관련 정부는 복지부와 지경부 장관 공동의 HT산업 글로벌수출지원협의회 등 효율적 민·관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바이오헬스 분야, 국가 핵심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입력 2011-06-03 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