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면 피부의 피하지방세포에서 지방합성이 억제돼 내장지방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진호·김은주 서울의대 피부과 교수팀은 5명의 자원자 엉덩이에 한여름 1시간~1시간30분 동안 햇빛을 쬘 경우 받는 자외선과 동일한 양을 쪼인 결과, 피하지방에서 지방합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7명의 노인에서 노출 피부의 피하지방이 그렇지 않은 피부에 비해 지방합성이 약 40%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몸 지방의 85%는 피하지방으로 존재하며, 내장지방에 나머지 15%가 저장돼 있다. 자외선을 온몸에 많이 쪼일 경우 지방합성이 억제돼 과다하게 섭취된 칼로리가 피하지방에 저장되지 못하고 내장지방의 형태로 저장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자외선을 많이 받으면 피부노화뿐만 아니라 온 몸의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은 피부에 주름살을 유발하며, 피부탄력을 감소시키고,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노출된 피부에서 피하지방이 없어지는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자외선은 피부를 통과하면서 모두 흡수돼 피하지방세포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피하지방의 소실과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생각돼 왔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한편 연구팀은 자외선이 피하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원인도 밝혔다. 피부 바깥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세포가 자외선을 받으면 ‘IL-6’과 ‘MCP-3’, ‘PlGF’라는 단백질을 분비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물질들을 억제하면 자외선을 쪼이더라도 지방합성이 억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정진호 교수는 “자외선이 피하지방의 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지방합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조절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피부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미국피부연구학회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자외선 많이 쬐면 내장지방 증가
입력 2011-06-03 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