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전후 내성률 차이 최대 6배
[쿠키 건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항생제 내성이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림대학교강동성심병원 소화기병센터 신운건 교수(소화기내과)는 “항생제 치료 전과 치료 후 항생제 내성률이 최대 6배 이상까지도 높아질 수 있다”고 소화기연관학회에서 발표했다.
신 교수는 1987년부터 2009년까지 20여년간의 국내 4개 대학병원의 문헌 데이터들을 수집, 분석한 결과, ''아목시실린''이 1987년 0%에서 2003년에는 18.5%(12/65 : 내성균 수 / 전체 균주)로 크게 증가했다.
2003년 이후에는 4.8%(2007~2009년 : 6/156) 등 다시 낮아진 수준에서 내성률이 유지되고 있지만 실제 내성률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신 교수는 예상했다.
‘클라리스로마이신’은 더 심각해 1987년에는 0%, 1994년에는 2.8%(1/36)였다가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38.5%(60/156)로 크게 증가했다.
‘테트라사이클린’ 역시 2003년 12.3%(8/65)였으나 2007~2009년에는 34.6%(54/156)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번 연구에서 특히 주목된 것은 헬리코박터균의 치료 전과 항생제 투여 후의 내성률 차이. 테트라사이클린을 제외한 모든 항생제에서 내성이 증가했으며 아목시실린이 치료 전 18.5%에서 31.3%로, 씨프로플록사신이 33.8%에서 35.8%로 내성이 커졌다. 클라리스로마이신은 13.8%에서 85.1%로 6배 이상 급증했다.
신 교수는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이러한 항생제 내성은 제균치료 실패의 주요 원인이므로 전국적으로 검증된 기간에서 헬리코박터 내성검사를 시행하는 다기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헬리코박터 제균 요법으로는 ‘프로톤펌프억제제 - 아목시실린 - 클라리스로마이신’의 3제 요법을 1~2주간 투여하는게 일반적이었지만 이미 이 요법도 사용한지 10년이 넘어, 내성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jkim30@medical-tribune.co.kr
헬리코박터균 항생제 내성 문제 심각
입력 2011-05-23 09:49